System Compleat.

'누구에게나 찬란한 시절'에 해당되는 글 1건

  1. 우리 추억의 이름, 써니.

우리 추억의 이름, 써니.

Stories
(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

온전한 정신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누구에게나 아름다웠던 시절을 회상하게 하는 것들이 있다. 좋았던 시절의 음악, 아직 망하지 않은게 신기한 전파사, 오랜만에 다시 걷게되는 장소의 익숙함. 언젠가의 그녀와 함께 보았던 영화의 사운드 트랙도, 특별한 선물을 해 보겠다며 손바닥 만한 오르골을 그녀의 손에 쥐어 주었던 것도, 어쩌면 그렇게 한 없이 그리워만 지는 기억인지. 이소라 누님의 노래처럼 서로의 추억은 다르게 적히겠지만.

누군가에겐 삼디다스 신발을 못신어 괴로웠던 시간도, 첫사랑과의 슬픈 사연으로 컴컴한 방에서 책상이 홍수가 나도록 울어제끼던 기억도 십수년이나 지난 지금 돌이켜 보면 웃음이 난다. 어리고 겁없던 시절, 앞으로 무엇이 어떤 사람이 될 지에 대한 실마리조차 없었던 그 시절이 그토록 아름다웠던 것은 아마도 어리기 때문에 당장 눈앞에 있는 무엇에 전부를 걸었기 때문이 아니었나 생각도 해본다.  

사회 생활을 하면서 고교시절 친구들을 만나면 매번 뭐 그리 할 말들이 많은지, 또 살면서 힘든 말을 섞으면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 몇년을 붙어다니던 서로의 어린시절이 소중하기 때문에, 다시 올 수 없는 그 시절을 함께 추억 할 수 있는 사람이 또 소중하다. 십수년이나 연락이 없어도 다시 만나면 반가운 그 얼굴들이 바로 함께 야간 자율학습 도망치던 그 놈들이 아닌가 말이다. 



써니라는 영화는 명성은 자자했지만 도무지 극장에서 보고 싶었는데 못봤던 영화중의 하나이다. 어떤 영화 소개 프로그램에서 나왔던 80년대 민주화 운동의 새중간에서 코믹스러운 파이팅을 연출하는 장면을 보고 정말로 보고 싶다는 느낌을 받았더랬다. '아 이런건 봐 줘야 한다' 하고. 

영화에서는 시대의 아픔이 마치 아픔이 아니었던 것처럼 절묘하게 나타난다. 추억을 다루는 영화는 대부분 억지 눈물을 빼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 영화는 복고라는 소재를 통해 현실을 되짚는다. 영화가 보여주는 영상을 그저 즐겁게만 바라보면 슬픈구석이 별로 없는 영화지만, 이 영화의 모든 소재가 온통 슬픈 것들 뿐이다. 그렇지만 그 슬픈 소재들을 누구나가 가지고 있을 법한 추억으로 절묘하게 감싸기에 또 묘한 감정이 인다. 

말만 하면 뭐에 그리 매일 화가 나 있는지 제대로 얼굴도 마주치지 않는 딸. 침대에 누우면 서로의 영역이 있어 어지간 하면 침범하지 않는 결혼 십수년차 남편, 사위의 명품 백 선물을 문병보다 좋아하는 어머니. 

민주화 운동한다고 밥상머리 앞에서 등록금 대주는 아버님께 대거리하는 아들이 잡혀갔다가 돌아오며 친구들 다 팔아 먹고 일그러진 얼굴로 현관에 주저앉으면, 우리의 어머님들은 그런 아들을 끌어안는다. 

그 아들이 나이들어 외국인 노동자들 등골 빼먹는 사장이 되고, 동생 보는 앞에서 그들에게 상욕을 들어 먹는다. 자본주의 욕하며 민주화 운동한다고 도망칠때 마주치던 눈빛과 이제 사장이 되어 착취를 하다 걸려 법원에서 판결 받을때 마주치던 눈빛을 가진 사람은 주인공의 오빠이고, 이 세상에 분명 있는 사람이다.  

밤새 친구와 통화하다가 라디오가 나오면 전화통과 라디오를 함께 붙들고 있다 보면, 또 그걸 이쁜 내새끼 하고 봐 주는 것도 할머니 밖에 없다. 

그시절, 본드나 가스를 불며 다른 친구들에게 막나가는 친구로 기억되며, 교육이란 마치 경찰서의 강력계와 같은 느낌의 교무실 학생과 학생 주임 선생님의 회초리만이 매섭던 그 떄. 

사채에 쩌들어 화류계로 빠져 자식과도 찢어져 사는 친구, 보험 설계사로 실적이 좋지 않아 매번 팀장에게 찐빵을 먹는 친구, 또 암에 걸려 오늘 내일 하는 친구, 어린 시절의 꿈을 잃고 시집살이에 쩔어사는 친구. 

이 영화는 추억을 가지고 좋았던 시절만 추억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오히려 지금 살고 있는 현실 또한 언젠가의 추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지금도 그 시절처럼 살아야 한다 말한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친구와 친구로 지낼 수 있으려면 많은 것들이 필요해져 버렸다. 영화는 그런 것 조차 다 버리라 하지만, 그것이 어디 쉬운 일이던가. 결국엔 친구가 죽고 나서야 얼굴 비출 수 있는것이 지금 우리네 삶 아닌가 한다. 그런 날 정도 되어야 밥상 엎을 용기가 생기거든. 

영화 마지막의 크레딧에는 친구들이 함께 어떻게 늙어가고, 하나 둘 씩 써니의 멤버가 사라지지만, 모두 웃는 얼굴을 보여준다. 영화는 참 아련하다. 분명히 영화속 캐릭터들을 보고 있는데, 나를 보고 있는 듯한 환상에 빠진다. 그의 친구가 마치 내 친구 같다. '맞아 그때 저런녀석 있었지' 하는 생각, 그리고 '그래, 지금 저렇게 사는 친구가 있지' 하는 생각과 함께 우리의, 내 친구의 이야기를 한다. 그래서 그런지 캐릭터들 이름 중에 머리에 남는 친구는 '장미' 밖에 없다. 



내가 감독판을 보아서 그런진 모르겠지만, 얼음공주 같던 그녀의 마지막 등장은 살짝 의외였다. 사람들 사는게 참 신기해서, 누구하나 똑같은 모습으로 사는 사람이 없다. 그렇기에 서로 다른 그들 중 한 명 정도는 나타나지 않으리라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왜, 우리들도 이제는 어떠한 이유로든 연락이 되지 않는 친구 한둘 정도는 있지 않은가. 나 역시도 누군가에겐 이제 연락되지 않는 친구일 지도 모르는 일. 

슬프고 아픈 이야기를 하지만 밝은 영화가 된 것은 그 시절의 그들이 아름다웠기 때문이리라. 항상 아름다운 일들만 생긴 것은 아니지만, 어린 시절이기에 큰 일을 감당하기 더욱 힘들 었지만, 나이를 먹어 다들 다른 모습의 인생을 모두 친구로 만들어 주기 위한 오야의 능력은 대단하고, 그래서 영화에서의 밝음에 대한 정점을 찍는다. 그래서 그들의 지난 시절의 아름다움은 다시 몇십년이 지난 후에도 '적어도 내 인생의 주인공은 나' 라는 단순한 진실을 깨닫고, 그 깨달음이 주는 행복으로 다시 아름다워진다. 

어디서 누구와 함께 무엇을 하던, 그것은 또 다른 추억과 기억이 된다. 그 어린시절을 항상 되새기며 살긴 하겠지만, 더 늙어서 지금을 또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 

'복고' 라는 것은 지금 이 순간 좋은 추억을 만들고 있는 누군가에게 언젠가는 다시 좋은 향수를 일으키는 단어이기에, 또 그것이 모든 사람마다 서로 다른 것이기에 진부하지만 아름다운것.

언제의 누군에게나 사진 한장, 음악 한곡, 고교 시절에 보던 책에 끼워져 바래버린 낙엽, 이런 아주 작은 것들로 부터 일렁이는 소중한 감정들이 있을게다. 그 모든 것들이 한꺼번에 녹아있는 영화, 그래서 러닝타임 내내 무언가 아련한 영화. 지금은 나보다 10살쯤 많은 누님 형님들의 이야기. 

'길가는 저 머리 벗어지고 부하직원 잘 쪼을것 같은 40대 아저씨에게도 청춘은 있는 법이다' 

라는 별것 아닌 상상 만으로 한번은 웃게 해줄 영화. 


주말에 책과 코딩으로 지친 머리를 쉬게 하기엔 과분한 영화였나 보다. 여운이 너무 짙어 일요일 밤임에도 불구하고 친구놈을 불러다가 소주라도 한잔 해야 직성이 풀릴 것 같으니 말이다.

이런 한국영화 격하게 사랑한다. 

(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