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 Compleat.

'스프링 부트'에 해당되는 글 1건

  1. 고가용 서비스 - Spring Cloud - #1 DNS to Eureka 1

고가용 서비스 - Spring Cloud - #1 DNS to Eureka

Techs


(정윤진, younjin.jeong@gmail.com) 

언어와 기술의 홍수에서 살다보면 정작 뭐가 중요한지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클라우드의 시대에는 이것이 점점 더 가속화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운영자에게 코드를 배우도록 강요하고, 개발자에게 운영의 기술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게다가 클라우드 서비스 자체 뿐만 아니라 그 위에서 동작하는 수많은 새로운 도구들의 출현은 가만히 보고 있자면 숨이 막힐 지경이다. 그것들 중에 어느 포인트가 가장 재미가 있을까 생각을 해 보니, 역시 스프링 클라우드에 대해 이야기 해보는게 좋을것 같다. 

아래의 그림은 DNS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보여준다. 

http://www.thewindowsclub.com/dns-lookup


그림은 thewindowsclub.com 이라는 페이지에서 가져왔다. 예전에 그려둔게 있는것 같은데, 아무튼 없네. 

DNS는 인터넷의 시작점과 함께 존재했던 도구다. DNS를 모르는 개발자나 운영자는 없겠지만,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는것은 조금 다른 이야기니까 몇글자 적어보면, DNS는 일단 Domain Lookup System (또는 서비스)다. 모든 사용자 컴퓨터에 보관된 네트워크 정보는 크게 내 아이피 주소와 네트워크 마스크, 그리고 다른 네트워크로 넘어갈때 내 통신을 처리해 줄 게이트웨이의 주소, 그리고 이 DNS 서버의 주소를 기입하게 된다. 집에서 쓰는 공유기에는 편리하게도 DHCP 라는 프로토콜을 통해 이 내용들이 컴퓨터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설정되지만, 대부분의 서버 네트워크에서는 이런 것들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관리한다. 

어쨌든 www.mydomain.com 과 같은 주소를 브라우저에 넣게 되면 이는 네트워크 정보에 담겨져 있는 DNS 서버로 물어본다. 이때 순서가 있는데, .com .net .io 와 같은 최상위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서버들을 ROOT DNS 라고 한다. 이 ROOT DNS 서버 정보들은 사전에 공개 되어 있으며, IANA 와 같은 기관에 의해 관리된다. 기본 동작은 이 ROOT 서버에 mydomain 에 관련된 정보를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 물어보고, ns.mydomain.com 과 같은 DNS 서버 주소를 찾게 되면 다시 이 ns.mydomain.com 에서 www 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넘겨 받아 결국 www.mydomain.com 으로 직접 IP 연결을 통해 접근하게 된다. 

이 과정들은 bind9 과 같은 DNS 서버에서 recursive 라는 플래그를 통해 "내가 대신 물어봐 줄께" 를 켜거나 꺼는 방법으로 서버 관리자는 설정할 수 있다. 즉, 내 컴퓨터에 설정된 1차 및 2차 DNS 서버에서 www.mydomain.com 을 찾기위해 각각 다른 DNS 서버로 물어보는 동작을 대신 처리해 주고, 마지막 결과인 A 레코드, 즉 IP 주소만을 내 컴퓨터로 되돌려 주어 내 컴퓨터는 www.mydomain.com = IP (ex. 1.1.1.1) 과 같은 정보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컴퓨터는 1.1.1.1 서버로 http GET 요청을 보내게 되고 해당 서버의 정보가 정확하다면 서버는 GET 요청을 처리해서 돌려주며, 이렇게 받은 데이터를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하는게 브라우저에 도메인 주소를 찍을때 발생하는 동작들이다. 

일단 이러한 메커니즘이 왜 필요한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첫째로는 사람은 숫자보다는 문자를 더 잘 기억한다. 또, 그렇게 기억하는 것이 편리하다. www.amazon.com 이 54.239.25.208 보다 외우기가 쉽다. 두번째로, 어떤 사유에 의해서이건 도메인과 아이피 주소는 바뀐다. 그것이 장애에 의한 고가용성 처리를 위해서건, 단순히 서버를 KT에서 Amazon 으로 옮겨서건 간에 이름과 주소는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내 이름은 바뀔 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거의 없지만), 내가 사는 주소는 언제든 바뀔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DNS 는 이런 인터넷 상의 특정 서비스로의 접근을 위한 주소 해석 체계를 제공한다. 

이것은 인터넷에서 서비스간 연결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서비스 내부에서 웹 서버가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찾아갈 때 사용하기도 한다. 이 두가지는 보통 external / internal 이라는 용도로 구분하여 사용하곤 하는데, external 의 경우 www.service.com 과 같은 대표 도메인과 메일 처리를 위한 MX 레코드 등 인터넷으로 부터의 참조 목적을 위해 사용하고, internal 의 경우 db-1.service.com, web-1.service.com 과 같이 내부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대부분 internal 의 경우에는 DNS 를 사용하는 대신 DNS 이전에 참조 될 수 있는 /etc/hosts 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DNS 를 유지하는 것 보다 /etc/hosts 파일을 보수 하는 것이 더 쉽기 때문이다. 그 말인 즉슨, DNS 서버는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추가적인 노력이 "꽤" 많이 드는 서비스 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DNS 서비스에 등록되어 인터넷에서 "유일하게" 식별 될 수 있는 주소를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이라고 하며 이는 서비스 코드 내에서 다른 서비스 참조 또는 다른 서비스에 API 요청을 수행할때 이 도메인 주소, 또는 hosts 에 등록된 주소를 사용했다. 

이전에 많이 사용하던 DNS 의 특징을 이 외에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려면 레코드를 사전에 등록해서 사용해야 한다. 

- 최근에는 가능한 DNS 서버도 많이 있지만, 어쨌든 DNS 서버는 기본적으로 서비스에 대한 healthcheck 를 수행하지 않는다. 

- 레코드에 대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업데이트 및 반영에 시간이 필요하다. 주로 TTL(time to live) 값을 통해 위에 설명한 "되물어보기" 를 피하기 위한 캐시 용도로 사용하는데, 만약 TTL 값이 1시간이라면 TTL 1시간 만료 직전 59분 59초에 이 요청을 수행한 클라이언트는 다음 1시간 동안 이전의 레코드를 캐시에 가지고 요청하게 된다. 즉, DNS 서버가 변경되었을때 클라이언트들에 즉시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지 않다. 

- 따라서 TTL 값을 짧게 잡으려고 하는데, 이 경우에는 DNS 서버에 심각한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bind9 의 경우 변경 사항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zone 파일의 리로드 또는 프로세스의 재시작이 필요하다. DNS 서비스 프로세스 재시작 해 본적 있는가봉가 



클라우드 이전에는 이런 구성은 사실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었다. 관리자가 서버 이전을 해야 하는데 TTL 이 기본인 1주일로 잡혀있는 것을 잊어버리고 IP 부터 변경하여 1주일 동안 서비스가 되니 마니 하는 장애 상황이 생길 정도로 말이다. 즉, 서버의 이동과 신규 추가가 발생하는 경우가 극히 계획적이고 자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DNS를 업데이트를 자주 하지 않아도 '한번 설정하면 어지간하면 그대로 동작하는' 상태가 유지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클라우드에서는 어떤가. 

external 의 용도로는 기존의 DNS 체계가 인터넷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반드시 유지해야 하는 구성이다. 하지만 internal 의 경우, 오토 스케일링, 컨테이너의 사용 등으로 인해 특정 서비스에 연결된 서버의 정보가 수시로, 정말 수시로 변경되게 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그때그때 IP 로 관리한다는 것은 말이 안되기 때문에 서비스-서버 정보를 매핑해 주는 역할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DNS 체계를 사용하려고 봤더니, 이게 업데이트와 업데이트의 반영을 위한 노력이 장난이 아닌것이다. 게다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서버나 컨테이너의 생성과 소멸은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그 생성과 소멸의 시점에 즉시 반영 되어야 그 의미가 있는 것이므로 종전의 DNS 를 사용하는 방법은 옳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우리의 변태 엔지니어들 가득한 넷플릭스에서는 Simian Army의 공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Eureka 라는 서비스를 만들어 냈다. 이는 오픈 소스로 공개가 되어 있으므로,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 보도록 하자. 

https://github.com/Netflix/eureka 



역시 그림은 나랑 안맞... 

아무튼 이 도구가 하는 역할은 Service discovery, 즉 언놈이 어떤 정보를 가지고 동작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서비스에서 반영하는 도구다. 위의 DNS 역할은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위치를 정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에게만" 전해주는 정보였다. 유레카는 각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정보를 유레카 서버에 보내고, 이 정보를 받은 유레카 서버는 각 클라이언트에게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달해 주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다수의 데이터 센터에서 동작할 수 있어 높은 수준의 고가용성으로 지속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며, 문제가 발생하여 일순간 서비스에 문제가 된 경우에도 각 클라이언트는 유레카 서버로 부터 받은 정보를 일정 시간동안 로컬에 보유하고 있어 다른 서비스에 연결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유레카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고,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정보를 서버에게,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부터 받은 정보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서비스 1에 더 많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서비스를 이루는 서버 또는 컨테이너가 늘어나는 경우, 이 늘어난 컨테이너들에서 동작하는 유레카 클라이언트들은 자신이 동작하는 순간 서버에 자신의 정보를 전달하고 이 정보가 모든 클라이언트에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DNS + Load balancer 의 구성에서 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서비스-인, 서비스-아웃이 가능하다. 

이와 유사한 동작을 하는 도구들은 몇몇 있다. HashCorp의 Consul (https://www.consul.io/) 아파치 주키퍼(https://zookeeper.apache.org/) 등. Consul 의 경우에는 Cloud Foundry 에서도 Service discovery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주로 Golang 을 사랑하는 분들에게 많이 이용되는 것 같다. Golang 에서의 Consul 을 사용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예제는 이 링크에서 참조 할 수 있다. (http://varunksaini.com/consul-service-discovery-golang/


스프링 클라우드는 단순히 넷플릭스의 OSS 도구 뿐만이 아니라 다른 OSS 생태계에서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도구들을 함께 제공한다. 위에 열거한 모든 도구는 스프링 클라우드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위의 모든 도구들이 JVM 기반에서 동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비스에 제공될 수 있다는 의미다. 스프링 클라우드에서 Eureka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구성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 아래의 단계로 각각 수행하면 된다. 

Eureka 서버 

- http://start.spring.io 에 접근한다. 

- artifact 에 discovery-service 라고 쓴다

- 오른쪽 Dependencies 에 Eureka Server 를 찾아 엔터를 눌러 추가한다. 

- Generate Project 를 눌러 zip 파일을 다운받고, 압축을 해제하여 프로젝트를 IDE, 이를테면 STS나 IntelliJ 와 같은 도구로 연다. 

- discovery-service/src/main/java/com/example/DiscoveryServiceApplication.java  에 @EnableEurekaServer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 

package com.exampl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netflix.eureka.server.EnableEurekaServer;

@SpringBootApplication
@EnableEurekaServer

public class DiscoveryServic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DiscoveryServiceApplication.class, args);
}
}

- discovery-service/src/main/resources/application.properties 에 아래와 같이 설정을 넣어준다. STS 를 사용하거나 IntelliJ IDEA ultimate 버전을 사용한다면 다양한 eureka 관련 설정 옵션을 확인할 수 있다. 

spring.application.name=discovery-service
server.port=${PORT:8761}

eureka.client.register-with-eureka=false
eureka.client.fetch-registry=false
eureka.server.enable-self-preservation=true


다 끝났다. Maven 이라면 mvn spring-boot:Run 을 사용하거나 IDE의 플레이 버튼을 눌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Eureka 웹 콘솔을 확인할 수 있다. 

유레카 서버가 준비 되었으니, 클라이언트를 추가해 볼 차례다. 다른것은 그저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고, Dependencies 에 Discovery client 를 추가하면 된다. 

- http://start.spring.io 에 간다. 

- artifact 에 eureka-client 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넣는다. 

- Devpendencies 에 eureka discovery 를 추가하고 Generate project 를 눌러 프로젝트를 다운 받아 압축을 풀고, IDE 로 연다. 

- @EnableEurekaClient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 

package com.exampl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netflix.eureka.EnableEurekaClient;

@SpringBootApplication
@EnableEurekaClient
public class EurekaClient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EurekaClientApplication.class, args);
}
}

- application.properties 를 수정한다. 

spring.application.name=eureka-client
server.port=${PORT:8989}

eureka.instance.hostname=${vcap.application.uris[0]:localhost}
eureka.instance.nonSecurePort=80
eureka.instance.metadataMap.instanceId=${vcap.application.instance_id:${spring.application.name}:${spring.application.instance_id:${server.port}}}
eureka.instance.leaseRenewalIntervalInSeconds = 1
eureka.instance.lease-expiration-duration-in-seconds=5
eureka.instance.lease-renewal-interval-in-seconds=10
eureka.client.registryFetchIntervalSeconds = 5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eureka 서버의 웹 콘솔로 접근해 보면 eureka-client 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일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포트로 구동시켜 보자. mvn spring-boot:run -Dserver.port=8980 과 같은 형태로 쉽게 설정을 오버라이드 할 수 있다. 

그러면 EUREKA-CLIENT 라는 이름의 애플리케이션에 2개의 인스턴스가 생겨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끄고 웹 콘솔을 리프레시 해 보면 등록된 클라이언트들의 정보가 사라진다. 

유레카를 통해 각 클라이언트에 전파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의 주소로 접근해 보자. 

http://localhost:8761/eureka/apps 

<applications>
<versions__delta>1</versions__delta>
<apps__hashcode>UP_1_</apps__hashcode>
<application>
<name>EUREKA-CLIENT</name>
<instance>
<instanceId>172.30.1.24:eureka-client:8980</instanceId>
<hostName>localhost</hostName>
<app>EUREKA-CLIENT</app>
<ipAddr>172.30.1.24</ipAddr>
<status>UP</status>
<overriddenstatus>UNKNOWN</overriddenstatus>
<port enabled="true">80</port>
<securePort enabled="false">443</securePort>
<countryId>1</countryId>
<dataCenterInfo class="com.netflix.appinfo.InstanceInfo$DefaultDataCenterInfo">
<name>MyOwn</name>
</dataCenterInfo>
<leaseInfo>
<renewalIntervalInSecs>10</renewalIntervalInSecs>
<durationInSecs>5</durationInSecs>
<registrationTimestamp>1474180884996</registrationTimestamp>
<lastRenewalTimestamp>1474181029539</lastRenewalTimestamp>
<evictionTimestamp>0</evictionTimestamp>
<serviceUpTimestamp>1474180884492</serviceUpTimestamp>
</leaseInfo>
<metadata>
<instanceId>eureka-client:8980</instanceId>
</metadata>
<homePageUrl>http://localhost:80/</homePageUrl>
<statusPageUrl>http://localhost:80/info</statusPageUrl>
<healthCheckUrl>http://localhost:80/health</healthCheckUrl>
<vipAddress>eureka-client</vipAddress>
<secureVipAddress>eureka-client</secureVipAddress>
<isCoordinatingDiscoveryServer>false</isCoordinatingDiscoveryServer>
<lastUpdatedTimestamp>1474180884996</lastUpdatedTimestamp>
<lastDirtyTimestamp>1474180884463</lastDirtyTimestamp>
<actionType>ADDED</actionType>
</instance>
</application>
</applications>

이 정보들은 클라이언트가 부트될때 서버로 보내지는 정보들이며, 이는 각 유레카 클라이언트에 전파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서비스에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얼마나 많은 숫자의 인스턴스로 동작하는지 즉각적인 확인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 서비스간 연동을 위해 별도의 DNS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유레카를 사용하는 경우, 클라이언트간 로드 밸런싱을 위해 별도의 FQDN을 사용하는 대신 http://EUREKA-CLIENT/your/api/endpoint 의 형태로 요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유레카 서비스 자체는 각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 정보만을 공유한다. 이 자체로 "서비스 디스커버리"라는 부분의 역할에만 충실한 마이크로 서비스이며, 이 마이크로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통해 다른 컴포넌트들과 유기적으로 연동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것이 Zuul 과 Ribbon 인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시 자세히 설명하는 걸로. 


결론적으로 이 유레카와 같은 도구는 서비스 인스턴스 (서버나 컨테이너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기동의 베이스가 되는 리소스들)의 정보 매핑에 예전 레거시에서 사용하던 hosts 나 internal DNS 의 역할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지만 보다 빠르게 리소스의 상태가 변경되는 클라우드에 더욱 맞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도구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고가용성을 구현할 수 있다. 스프링 클라우드는, 스프링 개발자라면 누구나 이니셜라이저를 통해 쉽게 유레카와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전에도 언급했지만 Consul 과 Zookeeper 와 같은 도구 역시 스프링 클라우드에 포함되어 있다. 


다음번에는  Config server 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는 것으로.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