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 $25 Linux Box based on ARM
Techs(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http://www.raspberrypi.org/
ARM 베이스의 저렴한 리눅스가 임베드된 하드웨어가 나왔다. 가격은 무려 25달러. 아직 판매를 개시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나, 출시될 경우 필요한 산업분야에 굉장히 저럼한 가격으로 원하는 서비스의 구성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생각 할 수 있는 서버/클라이언트 이외에, 예를들면 스키장의 자동화를 위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기반 시스템등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된 바코드를 리프트에서 자동으로 스캔하는 엣지 모듈의 베이스 하드웨어,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특정 온도가 되면 자동으로 눈을 뿌려준다든지 하는, 중앙의 서버와 통신하며 각 지역에 용도에 따라 분산되어있는 모듈의 기반장치로 사용이 가능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비가 기존의 임베디드와 다른 것은, 어려운 SoC를 굳이 배울 필요가 없이 기존의 리눅스기반 프로그래밍 기술과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수준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일 것이다.
딱 필요한 성능 만큼을 극한의 상황에서 구동해야 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 이를테면 자동차나 비행기, 또는 산 꼭대기에 있는 풍력발전 모듈의 제어, 클라우드기반 서비스와 연동 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이를테면 게임, 영상, 기타 등등 필요한 부분은 얼마든지 있다. 이는 단일 PCB 기반의 장치에서 전원/네트워킹/USB 연결만 지원하게 되더라도 그 용도는 무궁무진해 질 수 있다.
물론 이 장치가 그러한 분야에 최적이다 라고 말하기엔 아직 정보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상상해 보라. 일반 서버 한대를 250만원 주고 구매하는 대신, 이 장비를 100대 구매해서 단순 이미지 서비스 용도로 구현 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물론 10/100 이기는 하지만, 네트워크 부분만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한대의 인스턴스 개념으로 사용 할 수도 있지 않을까?
100대의 인스턴스와 100대의 Raspberry. 물론 컴퓨트 클라우드의 인스턴스 만큼 신축성을 가지지는 못하겠지만,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분산의 개념이 잘 적용된 애플리케이션 구동에는 비슷한 성능을 보이지 않을까 한다.
하지만 모든 것이 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기존에 우리가 상상해 왔지만 임베디드 전문가가 아니면 범접하기 힘들었던 부분들에 보다 쉽게 접근이 가능 할 것이다.
아래는 아직 개발중인 Alpha 장비(위의 사진)를 사용하여 Quake III 를 구동하는 영상. 비록 퀘이크가 오래된 게임이긴 하지만, 이 정도의 성능은 일반 모바일 장치를 뛰어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장치의 PCB. 현재 개발중인 Alpha 버전과 나중에 상용화될 장치의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또한, 대략적인 스펙은
모델 A와 모델 B가 출시될 예정이며, 두 장치의 차이점은 모델 A는 128MB 의 메모리, 모델 B는 256MB의 메모리가 포함된 것이다. 모델 A의 경우 $25 수준이며, 모델 B의 경우에는 이보다 5~10 달러 정도 더 비싼 수준일 것이라 한다. 2011 년도 내에는 공급 될 것으로 보인다.
12M 픽셀 카메라 모듈을 붙인 프로토타입의 위용. USB 포트 사이즈를 통해 실제 하드웨어의 크기를 짐작해 볼 수 있다.
2000년대 초반 즈음, 어느 외국의 패션쇼인가 잡지에서 '컴퓨터 옷' 을 만들어 입고 치렁치렁 부품을 달고 돌아다니는 사진을 접한적이 있다. 그때는 피식 웃고 말았지만, 이제 세상은 정말로 USB 메모리 스틱만한 '제대로' 동작하는 컴퓨터를 만들어 내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및 전화의 기능성으로 인해 모든이들이 들고다니는 용도의 사용성 보다는, 아마도 종전의 임베디드 분야에서 더 필요한 하드웨어가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http://www.raspberrypi.org/
Raspberry PI Alpha board
ARM 베이스의 저렴한 리눅스가 임베드된 하드웨어가 나왔다. 가격은 무려 25달러. 아직 판매를 개시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나, 출시될 경우 필요한 산업분야에 굉장히 저럼한 가격으로 원하는 서비스의 구성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생각 할 수 있는 서버/클라이언트 이외에, 예를들면 스키장의 자동화를 위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기반 시스템등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된 바코드를 리프트에서 자동으로 스캔하는 엣지 모듈의 베이스 하드웨어,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특정 온도가 되면 자동으로 눈을 뿌려준다든지 하는, 중앙의 서버와 통신하며 각 지역에 용도에 따라 분산되어있는 모듈의 기반장치로 사용이 가능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비가 기존의 임베디드와 다른 것은, 어려운 SoC를 굳이 배울 필요가 없이 기존의 리눅스기반 프로그래밍 기술과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수준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일 것이다.
딱 필요한 성능 만큼을 극한의 상황에서 구동해야 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 이를테면 자동차나 비행기, 또는 산 꼭대기에 있는 풍력발전 모듈의 제어, 클라우드기반 서비스와 연동 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이를테면 게임, 영상, 기타 등등 필요한 부분은 얼마든지 있다. 이는 단일 PCB 기반의 장치에서 전원/네트워킹/USB 연결만 지원하게 되더라도 그 용도는 무궁무진해 질 수 있다.
물론 이 장치가 그러한 분야에 최적이다 라고 말하기엔 아직 정보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상상해 보라. 일반 서버 한대를 250만원 주고 구매하는 대신, 이 장비를 100대 구매해서 단순 이미지 서비스 용도로 구현 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물론 10/100 이기는 하지만, 네트워크 부분만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한대의 인스턴스 개념으로 사용 할 수도 있지 않을까?
100대의 인스턴스와 100대의 Raspberry. 물론 컴퓨트 클라우드의 인스턴스 만큼 신축성을 가지지는 못하겠지만,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분산의 개념이 잘 적용된 애플리케이션 구동에는 비슷한 성능을 보이지 않을까 한다.
하지만 모든 것이 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기존에 우리가 상상해 왔지만 임베디드 전문가가 아니면 범접하기 힘들었던 부분들에 보다 쉽게 접근이 가능 할 것이다.
아래는 아직 개발중인 Alpha 장비(위의 사진)를 사용하여 Quake III 를 구동하는 영상. 비록 퀘이크가 오래된 게임이긴 하지만, 이 정도의 성능은 일반 모바일 장치를 뛰어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aspberry Pi alpha PCB
이 장치의 PCB. 현재 개발중인 Alpha 버전과 나중에 상용화될 장치의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 최종 상용버전의 크기는 신용카드 크기 정도가 될 것이며, 알파 보드는 이보다 20%정도 더 크다. 사진에서 확인 할 수 있듯, 이미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에 필요한 사이즈가 반영되어 있다.
- 알파보드는 6레이어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최종 버전의 출시 이전에 해결해야할 성능상의 문제가 일부 있다. 이러한 부분들에 알파 보드에서는 비교적 고가의 칩셋, 이를테면 HDI (blind, buried vias, via-in-pad) 와 같은 기능들을 하드웨어로 처리하는 칩셋을 사용하고 있다.
- 알파 보드에서는 최종 버전의 보드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다양한 테스트와 디버깅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략적인 스펙은
- ARM-based application processor
- SMSC LAN9512 USB 2.0 hub
- 10/100 Ethernet controller
모델 A와 모델 B가 출시될 예정이며, 두 장치의 차이점은 모델 A는 128MB 의 메모리, 모델 B는 256MB의 메모리가 포함된 것이다. 모델 A의 경우 $25 수준이며, 모델 B의 경우에는 이보다 5~10 달러 정도 더 비싼 수준일 것이라 한다. 2011 년도 내에는 공급 될 것으로 보인다.
Raspbearry Pi running Ubuntu 9.04
prototype with 12M Pixel camera module
12M 픽셀 카메라 모듈을 붙인 프로토타입의 위용. USB 포트 사이즈를 통해 실제 하드웨어의 크기를 짐작해 볼 수 있다.
2000년대 초반 즈음, 어느 외국의 패션쇼인가 잡지에서 '컴퓨터 옷' 을 만들어 입고 치렁치렁 부품을 달고 돌아다니는 사진을 접한적이 있다. 그때는 피식 웃고 말았지만, 이제 세상은 정말로 USB 메모리 스틱만한 '제대로' 동작하는 컴퓨터를 만들어 내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및 전화의 기능성으로 인해 모든이들이 들고다니는 용도의 사용성 보다는, 아마도 종전의 임베디드 분야에서 더 필요한 하드웨어가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