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ling your own RC aircraft
Hobbies(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
시스템이란 참 얼마나 지루하면서 귀찮은 직업인지, 뭐 자동화 코드 하나 반영하고 결과를 보는데도 시간이 제법 오래 걸린다. 또한, 태생적으로 롤백 자체가 쉽지 않은 작업들이 많아서 잘못된 코드를 다시 테스트 하려면 시스템을 스냅샷을 통해 원복을 하거나, 새로 설치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새중간의 시간에, 몇가지 해피라이프를 위한 취미내용을 검색, 그 결과를 몇개 올려본다.
아무리 RC 라고 할 지라도, 기본 비행기가 나는 원리라던가, 비행기의 중량 대비 필요한 추진력의 양과 날개의 면적, 그외에 무언가를 덧붙여야 하는 장치의 무게 등 무언가 공돌이스러운 계산이 필요 할 것 같은데, 관련 분야의 종사자가 아니면 그 내용을 찾는 것이 쉽지가 않다. 설사, 찾는다 하더라도 내용은 대부분 영어로 되어 있으며, 항공 관련 용어를 알기 전 까지는 또 다른 공부의 산이 기다리고 있을 뿐.
아무튼 일단 무언가를 학습하기 전에 모아둔 자료 몇 벌을 공개한다.
1. 비행기 디자인에 대한 입문서 정도. ( Model Aircraft Design )
http://www.concept2creation.com.au/xstd_files/Jon%20Dansie%20Model%20Aircraft%20Design.pdf
2. 날개 형상의 디자인 및 가상 윈드터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맥용도 존재. ( xflr5, under GNU license )
http://www.xflr5.com/xflr5.htm
비행 안정성 분석에 대한 문서
http://www.xflr5.com/docs/XFLR5_and_Stability_analysis.pdf
( 요트용 디자인 프로그램도 있음 )
3. 날개 윈드터널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 by 일리노이 대학, GPL )
http://www.ae.illinois.edu/m-selig/pd.html
http://www.ae.illinois.edu/m-selig/uiuc_lsat/vol4/NREL-SR-500-34515.pdf
4. 장거리 조종을 위한 UHF - Radio Control
Dragonlink
http://www.dragonlinkstore.com/v2/
SCHERRER UHF
http://webx.dk/rc/uhf-link3/uhf-link3.htm
5. 비행 안정 장치
http://www.foxtechfpv.com/aircraft-stabilizer-c-55.html
http://eagletreesystems.com/guardian/
6. Jet Turbine engines
http://www.kingtechturbines.com/store/
http://www.wrenturbines.co.uk/
7. Pan/Tilt CAM for FPV
Fat Shark system
http://www.hobbyking.com/UNITEDHOBBIES/store/uh_viewItem.asp?idProduct=15129&aff=228650
With GoPro HD CAM.
http://www.fpvpilot.com/Pages/FPVCameraMounts.aspx
8. UAV/FPV with Beagleboards
http://beagleboard.org/project/BeagleUAV/
http://forum.osdev.org/viewtopic.php?f=11&t=21448&start=15
9. UAV/FPV Samples
http://jarelaircraftdesign.com/products/uav-fpv-ap-aircraft
http://hangar18uav.com/uav.htm
Images from: http://www.wrenturbines.co.uk/?imgid=192&category=0&engine=0&order=datedesc&page=4
위의 사진들은 Wren 사의 터빈을 장착한 RC VC-10 이다. 여기에 장거리용 통신 시스템과 추가적인 모듈이 들어간다면, 아주 재미진 무엇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http://www.keith-howlette.co.uk/vc-10.html
RC 를 하다보면 항상 조정 가능 범위를 벗어나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럴떄 WiFi 를 사용하고, 지향성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최장 8마일까지도 조종이 가능 할 것이다. 여기에 UHF 와 함께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면, 하나의 통신 채널에 문제가 발생 했을때 다른 통신으로 전환이 가능할 것이며, 만약 두개 모두 잃게 된다면 자동으로 지정한 Home 으로 회귀하는 오토파일럿을 탑재 한다면 적어도 잃어버릴 염려는 없을 것이다.
시간이 좀 생기게 되면 Beaglebone 시스템을 메인으로 두고, 하위에 각각의 역할을 분담하는 아두이노를 몇개 달아서 비행 통제 시스템을 만들어 볼 생각이다. 당연히 나는 RC 조종기 보다는 HOTAS 스틱에 익숙하므로 조종 인터페이스에 변화를 조금 줄 생각.
지금 당장은 시간이 없어서 조사만 하고 있지만, 시간을 두고 천천히 해 볼 생각.
비행 제어 장치라던가, 임시로 설치하여 사용할 ILS 등을 제작 할 생각을 하면 벌써부터 신이 난다.
Adding:
UAV 디자인으로 매우 좋은 참고 사이트
http://www.barnardmicrosystems.com/home.htm
(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
댓글을 달아 주세요
탄소중독 화성인
모형항공기에 대한 항공역학적인것을 공부하고 싶다면
http://www.rclab.co.kr/
여기를 참고해 보세요. 기초적인 것들은 여기서 대략 공부할수 있습니다.
좀더 파고들고 싶으시다면 책 "항공우주학 개론"과 "항공역학" 책을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이해 안되는건 그냥 넘어가면 되요
XFLR5를 쓰시려면 최소한 rclab안에있는 정보들은 마스터 해야 쓰실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적당한 에어포일을 선정해야 하는데 그건 좀더 후의 일이고...
조이스틱으로 조정하신다고 하셨는데 모형항공기는 순식간에 휙휙 움직이고 특히 이착륙때는 순식간에 일이 벌어지기 때문에(?) RC용 조정기로도 많은 연습이 필요할겁니다. 조이스틱으로는 순항할때만...
저랑 비슷한걸 계획중이시네요. 궁금하신게 있으면 제 블로그에 글 남겨주세요. 저도 완전 초보긴 하지만요 ㅋㅋ
Cerberos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요새 아마존에서 이런 저런 책을 구해서 짬나는대로 읽어 보고 있는데 역시 취미란 무서운것이 먹고 사는 일 보다 훨씬 눈에 잘 들어오네요..
RC용 조종기로는 많이 연습하고 있습니다만 아직 발사 비행기는 간이 작아서 날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FatShark 를 써서 EPO 비행기를 날리고 있는데 아직은 LRS 를 구비하지 못해서 멀리 날리지는 못해요.
조이스틱을 사용하게 되더라도 일반 조종기와 같은 PPM 시그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딜레이는 생기지 않을 거에요. 다만 스틱의 캘리브레이션이 조금 골치긴 한데, 이것 역시 쿠거 같이 좋은 조이스틱이면 텐션이 강해서 큰 문제는 안될 것 같습니다.
암튼 의견 감사드리고, 블로그에도 종종 놀러가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