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 Compleat.

In memory of Steve Jobs

Stories
(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 


Steven Paul Jobs
(24 February 1955 - 5 October 2011 ) 





 We're gambling on our vision, and we would rather do that than make "me too" products. Let some other companies do that. For us, it's always the next dream.  
- Interview about the release of the Macintosh (24 January 1984) - (online video)


It is hard to think that a $2 billion company with 4,300-plus people couldn't compete with six people in blue jeans.
On Apple's lawsuit against him, following his resignation to form NeXT, as quoted in Newsweek (30 September 1985)

If, for some reason, we make some big mistake and IBM wins, my personal feeling is that we are going to enter a computer Dark Ages for about twenty years.
On the early rivalry between Macintosh and "IBM-compatible" computers based on Microsoft's DOS, as quoted in Steve Jobs: The Journey is the Reward (1987) by Jeffrey S. Young, p. 235

I feel like somebody just punched me in the stomach and knocked all my wind out. I'm only 30 years old and I want to have a change to continue creating things. I know I've got at least one more great computer in me. And Apple is not going to give me a change to do that. 
On his expulsion from any position of authority at Apple, after having invited John Sculley to become CEO, as quoted in Playboy (September 1987)


Do you want to spend the rest of your life selling sugared water or do you want a chance to change the world?
A comment he made in persuading John Sculley to become Apple's CEO, as quoted in Odyssey: Pepsi to Apple: A Journey of Adventure, Ideas, and the Future (1987) by John Sculley and John A. Byrne

It's more fun to be a pirate than to join the navy.
-  
At a retreat in September 1982, as quoted in John Sculley and John A. Byrne, Odyssey: Pepsi to Apple – A Journey of Adventure, Ideas, and the Future (1987), p. 157

You can't just ask customers what they want and then try to give that to them. By the time you get it built, they'll want something new.
Interview with Inc. Magazine for its "The Entrepreneur of the Decade Award" (1 April 1989)


What a computer is to me is the most remarkable tool that we have ever come up with. It's the equivalent of a bicycle for our minds.
Memory and Imagination: New Pathways to the Library of Congress (1991); this has sometimes been paraphrased "Computers are like a bicycle for our minds."


Being the richest man in the cemetery doesn't matter to me ... Going to bed at night saying we've done something wonderful... that's what matters to me.
On the success of Bill Gates and Microsoft, as quoted in The Wall Street Journal (Summer 1993)


Unfortunately, people are not rebelling against Microsoft. They don’t know any better.
Interview in Rolling Stone magazine, no. 684 (16 June 1994)


You know, I've got a plan that could rescue Apple. I can't say any more than that it's the perfect product and the perfect strategy for Apple. But nobody there will listen to me.
As quoted in Fortune (18 September 1995)


The desktop computer industry is dead. Innovation has virtually ceased. Microsoft dominates with very little innovation. That's over. Apple lost. The desktop market has entered the dark ages, and it's going to be in the dark ages for the next 10 years, or certainly for the rest of this decade.
As quoted in "Steve Jobs: The Next Insanely Great Thing" in WIRED magazine (February 1996)

When you're young, you look at television and think, There's a conspiracy. The networks have conspired to dumb us down. But when you get a little older, you realize that's not true. The networks are in business to give people exactly what they want. That's a far more depressing thought. Conspiracy is optimistic! You can shoot the bastards! We can have a revolution! But the networks are really in business to give people what they want. It's the truth.
Interview in WIRED magazine (February 1996)


If I were running Apple, I would milk the Macintosh for all it's worth — and get busy on the next great thing. The PC wars are over. Done. Microsoft won a long time ago.
As quoted in Fortune (19 February 1996)


 The only problem with Microsoft is they just have no taste. They have absolutely no taste. And I don't mean that in a small way, I mean that in a big way, in the sense that they don't think of original ideas, and they don't bring much culture into their products.
 - Triumph of the Nerds (1996)

I am saddened, not by Microsoft's success — I have no problem with their success. They've earned their success, for the most part. I have a problem with the fact that they just make really third-rate products.

We have always been shameless about stealing great ideas.
 
Triumph of the Nerds (1996)

iMac is next year's computer for $1,299, not last year's computer for $999.
Introduction of the first iMac computer in Cupertino, Calif., (6 May 1998)

It's really hard to design products by focus groups. A lot of times, people don't know what they want until you show it to them.
As quoted in BusinessWeek (25 May 1998)

Innovation has nothing to do with how many R&D dollars you have. When Apple came up with the Mac, IBM was spending at least 100 times more on R&D. It's not about money. It's about the people you have, how you're led, and how much you get it.
As quoted in Fortune (9 November 1998); also quoted in "TIME digital 50" in TIME digital archive (1999)

You've baked a really lovely cake, but then you've used dog shit for frosting.
Steve Jobs commenting on a NeXT programmer's work, as quoted in The Second Coming of Steve Jobs (2000) by Alan Deutschman

We don't believe it's possible to protect digital content ... What's new is this amazingly efficient distribution system for stolen property called the Internet — and no one's gonna shut down the Internet. And it only takes one stolen copy to be on the Internet. And the way we expressed it to them is: Pick one lock — open every door. It only takes one person to pick a lock. Worst case: Somebody just takes the analog outputs of their CD player and rerecords it — puts it on the Internet. You'll never stop that. So what you have to do is compete with it.
As quoted in "Steve Jobs: The Rolling Stone Interview" in Rolling Stone (3 December 2003)

The subscription model of buying music is bankrupt. I think you could make available the Second Coming in a subscription model and it might not be successful.
As quoted in "Steve Jobs: The Rolling Stone Interview" in Rolling Stone (3 December 2003)

We think basically you watch television to turn your brain off, and you work on your computer when you want to turn your brain on.
Interview in Macworld magazine (February 2004)

The system is that there is no system. That doesn't mean we don't have process. Apple is a very disciplined company, and we have great processes. But that's not what it's about. Process makes you more efficient.
But innovation comes from people meeting up in the hallways or calling each other at 10:30 at night with a new idea, or because they realized something that shoots holes in how we've been thinking about a problem. It's ad hoc meetings of six people called by someone who thinks he has figured out the coolest new thing ever and who wants to know what other people think of his idea.
And it comes from saying no to 1,000 things to make sure we don't get on the wrong track or try to do too much. We're always thinking about new markets we could enter, but it's only by saying no that you can concentrate on the things that are really important.
As quoted in "The Seed of Apple's Innovation" in BusinessWeek (12 October 2004)


Death is the destination we all share, no one has ever escaped it. And that is as it should be because death is very likely the single best invention of life. 

Remembering that I'll be dead soon is the most important tool I've ever encountered to help me make the big choices in life. Because almost everything - all external expectations, all pride, all fear of embarrassment or failure - these things just fall away in the face of death, leaving only what is truly important. Remembering that you are going to die is the best way I know to avoid the trap of thinking you have something to lose. You are already naked. There is no reason not to follow your heart. 
 -  At Stanford University (2005) 
 







돌이켜 보면, 유명인의 죽음에 직접적으로 감성이 반응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 않을까 싶다. 그의 지휘아래 창조된 제품들을 15년 전부터 보아왔고, 5년 전부터는 그의 고객이 되어왔다. 지금 하는 일도 돌이켜 보면 그가 창조해낸 물건들로 부터 만들어지고, 전송되고, 보여지며, 활용되는 플랫폼의 개발이므로 어떻게 생각하면 수혜를 받았다고 억지로 연관 지을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시대에 앞선 무언가는 언제나 기존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게 마련이다. 그는 그런 물건을 만들어 왔고, 그래서 역시 고전을 면치 못했었다. 하지만 그렇게 매번 고전을 면치 못하던 모든것들이, 제 시대를 만나면서 그를 혁신의 선봉장 반열에 오를 수 있게 만들었다. 

애플 전 제품의 기반 플랫폼의 효시인 넥스트 스텝,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편의성, 그리고 상품 그 자체로 가지고 싶다 라는 욕구를 끌어내는 제품 디자인. 지난 시절 실패했던 모든 것들이 산업의 발전과 함께 거대한 시너지를 만들었다. 

단순히 애플의 제품들을 칭송하는 것에 벗어나,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콘텐츠에 시대가 원하는 새로운 결재와 통제의 방법을 도입하는 등, 그야 말로 새로운 하나의 거대한 문화를 만들어 내었다.  

그는, 인간으로서 표방해야 할 어떤 하나의 거대한 콘텐츠다. 세상의 어떤 누가, 또 어떠한 기업인이, 사후에 이런 감정을 느끼게 해 줄 수 있을 것인가. 또 다른 어떤 누가 기존 문화를 새로운 방식으로 소비 할 수 있는 제품을 발표 할 수 있을 것인가. 

그의 죽음에 대한 슬픔은 분명 이런 모든 이성적인 것들과 관계가 있기는 하지만, 비단 그것 뿐 만은 아닌 것 같다. '애플' 이라는 이름을 오랜 시절 보고 들어온 내 삶의 많은 부분을 지배했던 시간에 감사한다. 이 포스트를 작성하는 iMac, 친구화 통화하는 iPhone, 작업에 사용하는 Macbook Pro, 그리고 이 모든 것들에 아로 새겨진 사과 마크가 그로 인해 슬프다. 

국가와 인종과 관계 없이, 내 손과 머리의 편의를 고려해 준 혁신의 아버지를 잃었다 생각한다. 


Rest in peace Jobs, 
a man who built whole new way of culture for mankind.



"Stay Hungry, Stay Foolish"










http://en.wikiquote.org/wiki/Steve_Jobs
http://www.quotationspage.com/quotes/Steve_Jobs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IaaS

Techs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항상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혼자 만들던, 여럿이 만들던, 회사에서 만들던지간에, 새롭게 무언가를 창조하는 것은 힘든일이다. 그래서 우리는 대부분 '모방'의 방법을 사용하고, '모방'의 대상을 찾아 낸다. 사진을 찍을때는 유명한 작가의 작품에 나온 구도, 노출등을 따라해 보고, 스포츠를 배울때는 유명한 운동선수의 폼을 따라 해 보기도 한다.


모방의_올바른_예_JPG



'창의'와 '모방'은 필시 다른 말일게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서 그렇듯, 좋은 '모방'은 종종 새로운 '창의'의 모태가 되기도 한다. 너무나도 당연한 말이지만, 모방을 넘어 창의로 닿는 사람들은 그 창의가 '소용'에 다르지 못해 또 고민한다. 이러한 일련의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는 역설적이게도 '소용'에 대한 필요에 의해 '모방'을 촉구하기도 한다. 그것이 바로 한국의 IT 산업, 바로 그것일 게다.

매번 기술의 패러다임이 쉬프팅 하게 될 때 문제가 발생한다. 사람들이 PC를 가지기 시작한 시절에 제일 높은 효용의 가치인 '워드'를 배우기 위해 단축키 표를 놓고 '아래아 한글'을 배워대고, 다시 '인터넷'이 발전하는 시절에는 '스타크래프트'를 즐기기위해 혈안이 된다. 이제 인터넷을 기반으로 기존에 하던 '개인사업' 들이 웹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부터는, '전자상거래' 나 '인터넷 쇼핑몰' 을 만드는데 정력을 쏟는다. 나아가, 애플이 만들어낸 기계들에서 발생한 '사용자 편의성' 과 '인터넷'의 조합은 어디서나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할아버지 할머님도 글자만 읽을 수 있으면, 또 손자 손녀의 친절한 도움만 있다면 사용 할 수 있는 또 한번의 거대한 쉬프팅이 발생하도록 했다.

아저씨도_스마트폰_유저_JPG


"데이터 폭발의 원천"

문제는, 이러한 쉬프팅이나 흐름의 주도권을 잡지 못한다는데 있다. 블로그의 많은 포스팅, 트위터의 많은 글들을 보면 왜 우리나라에는 스티브 잡스 어쩌고 하는 글들이 널려있다. 개중에는 공감이 가는 글도 있고, 아닌 것들도 많다.

각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면, 통상 알기 힘든 영역이 반드시 존재한다. 차에 관심이 많은 사람일 지라도 독일 메이저 3사의 자동차 브랜드가 많은 파츠를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은 모르는 사람도 많다. 또한, 이러한 파츠들을 국산 브랜드가 어떤 부분에서는 수입해서 그대로 적용하는 것도 흔한 일이다. 그런데, 동일한 파츠를 사용한다고 해서 매번 동일한 '소용'이나 '효용' 또는 나아가 '품질'이 발생하는 것이 아닌가 보다. 만약 그렇다면 독일 메이저 3사나 국내의 차량 브랜드들이 서로 가격차이와 주행 품질에 차이가 있을리가 만무하지 않겠는가.


이런 애들 다 부품은.... 

BOSCH SPARK PLUG / AUDI / FIAT & ETC..

 

이러한 일반인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것, 다른 분야의 저변에는 어떠한 것이 깔려있는지 모르겠지만, 앞서 말했던 IT의 쉬프팅에서는 매번 '인프라스트럭쳐'의 변화가 있어왔다. 인프라라는 것이 일견 제품을 찍어낼 수 있는, 또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저변의 무언가' 로 통하기는 하지만, 나는 여기에 '시대적 환경'을 함께 언급하고 싶다. 이 시대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기술의 변화는, '저변의 무언가'를 필연적으로 변화 시키는 힘이 되기 때문이다. 

IaaS 라면 이미 전산 바닥에 계신 분들은 귀에 딱지가 앉을 정도로 많이 들어보셨을 약어이다.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전산의 인프라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이 개념은, 엄밀하게 이야기하면 예전부터 있어왔던 개념이다. 여러분은 인터넷 쇼핑몰을 만들고 싶은 경우 그저 호스팅 업체 또는 관련 사업을 제공하는 업체에 가입을 하고, 비용을 지불하여 쇼핑몰의 프레임을 만들고, 거기에 판매가 가능한 컨텐츠를 올릴 수 있으며, 카드 결재 연동을 위한 인프라를 서비스로서 제공받아 왔다. 제공 받아서 장사를 해 보다가, 만약 잘 안되서 접어야 하면 서비스 사용을 중지 신청 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서비스의 내부 구조는 이를테면 잘 짜여진 IaaS, 또는 조금 더 발전적으로 생각한다면 PaaS, 즉 Platform as a Service 였다고도 할 수 있을테다. 쇼핑몰이나 웹을 그대로 서비스로 제공 했으니 말이다. 

출처 : IBM Site

이게 요즘 들어와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리는 이유는 이 블로그에서도 수차례 언급한 적이 있는 클라우드 때문이다. 인터넷 기반 서비스의 기본 이라고 하면, 바로 서버와 스토리지, 그리고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킹, 바로 이 세가지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것을 클라우드에서 IaaS 라고 부른다. 이것이 IaaS 로 불리우듯, 새로운 기반 기술은, 모든이가 IT서비스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시대의 요구가 빛어낸 데이터 폭발로 인해 모든 사업자에게 필요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되어버렸다. 이를테면, 할머니 할아버지가 페이스북에 송아지 사진, 두살바기 애엄마의 아이 사진과 걸음마 동영상, 고딩이 미팅때 찍은 퀸카의 얼굴등 기존의 Feature Phone에서는 그저 개인 전화기의 사진 폴더나 아는 사람간의 컨텐츠 전송등을 통해 극히 일부 공유되던 것들이, 이제는 서비스 레벨에서 공유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_위치_공유_JPG



이러한 공유를 처리하기 위해 이전과는 다른 형태의 인프라가 필요하게 되었고, 해외에서 촉발된 인프라의 변형은 그 사용성이 검증되어 국내에서도 다루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문제는, 전술 했듯이 우리가 시대의 흐름이나 또는 데이터의 소용에 대한 필요충분 조건을 먼저 만들어 내지 못했으므로, 이러한 인프라 기술의 이동에 대해서도 무지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오히려, 사업을 검토하고 그 필요를 먼저 깨닫는 것은 회사의 고위 임원이고, 하위의 엔지니어들이 그게 뭐에요 하고 되묻는 현상조차 발생하는 웃지못할 사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뭐, 이런 상황은 기술이 고착되면 또다시 순환되기 때문에,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지금의 문제는 이러한 변화가 해외에서는 오랜기간 누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 국내에서는 이 누적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술자가 드물어 '내재화'에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최근 벤처로서 성공하여 화두가 된 기업은 '카카오톡' 말고는 들어 본 바가 없다. 하지만 미국은 어떤가. '페이스북', '플리커', '티켓몬스터', 심지어 '애플' 등 그들의 벤처 순환고리는 도대체 실리콘 밸리 내에서 끊임이 없다. 물론 그들 중 대부분이 없어지고, 또 생겨나고, 다시 투자 받고 하지만, 우리나라는 정말로 그런 예가 별로 없다. 대부분 대기업과 공생관계, 또는 해외 본사의 파트너 뿐이다. 물론, 내가 지적하고 싶은건 이러한 기업 인프라가 아니라, '기존의 것'에 유착하여 '기존의 기술'을 판매해 왔기 때문에, 스스로 새로이 무언가를 만들다 실패할 때 발생하는 '저렴한 원가를 통한 서비스의 개발'이 별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의 많은 대기업은 IaaS 를 만들고 싶어 한다. 이미 각 텔코에서는 구현에 성공한 기업도, 또 한번 구현 했다가 말아먹은 기업도, 이제 슬슬 시작하려고 하는 기업도 있다. 문제는, '저렴한 원가를 통한 서비스의 개발' 의 다른말인 '오픈소스를 통핸 서비스의 개발' 을 충분히 숙련자라 할 만큼 다루어 본 기술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새로운 해외 기술의 내재화에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새로운 기술에 국내 벤더는 이름조차 올릴 곳이 없다. 나름 핵심적인 '가상화' 부분은 더 절망적이다. 뭐 그 문제는 해외에서는 사장되려는 PC용 OS 만들다 말아먹은 모 회사에 망쪼가 들던 시점에 이미 SaaS의 개념이 발생했던 것을 뼈아픈 예로 치고 고만하자. 

아무튼, 현재의 관계자들은 대부분 이런말을 한다. '그거 오픈소스 배우는데 얼마나 걸린다고. 이미 다 공개 되어 있으니 시간을 조금만 들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거 아닙니까.' 맞다. 맞는 말이다. 그런데 나는 이렇게 이야기 하고 싶다. 그 조금만 들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시간을, 누구는 십수년 전 부터 베타 테스터로 참여하고, 버그를 레포트하고, 코드를 푸쉬하는 형태로 살아온 '성당과 시장' 의 시장의 사람들은 없지 않냐 라고. 전체 바닥을 통틀어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하나라도 가입하여 테스트나 버그 레포트를 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 생각보다 없다. 금방 배우고 설치해서 사용은 할 수 있겠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구글도 아니고 네이버에서 찾는 사람들이 '배워서' IaaS 를 구현할 꺼에요라고 말한다면 나는 '시간이 오래 걸릴거에요' 라고 말해줄 테다. 

예를 들어, '부트스트래핑' 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베어메탈 박스가 주어졌을때, 또 매번 동일한 박스를 세팅한다고 했을때, 가장 간단한 방법은 이미지의 사용이다. 두번째가 복합적인 코드 레포지트리를 사용한 패키지 인스톨 정도가 될 수 있겠고, 세번째로는 이렇게 설치된 박스의 업데이트 지원에 대한 방법까지 고려한 내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조촐한 세단계 조차 구현의 경험이 없거나 심지어 사용해 본 경험도 없다면 당장 머리에 그 구조가 떠오를리 만무하지 않을텐가. 

이아저씨가_떠오른다면_안습_JPG



한가지 더 재미있는 사실은, 바로 국내에서는 그다지 데이터 폭발이 많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IaaS를 만들어 두었지만 잘 팔리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아니, 엄밀하게 말하면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폭발은 발생 했으나, 모바일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는 국내에 별로 없기 때문에 IaaS 가 인기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는, 아마존을 근간으로 많은 서비스를 내어 놓고있는 수많은 미국의 벤처들과는 달리, 국내에는 벤처 자체가 이미 별로 없기 때문에 IaaS 가 인기가 별로 없다. 그저 대학과 일부 업계의 관심있는 사람들이 이용할 뿐이다. 때문에 텔코들은 기존의 기업들을 자신의 IaaS로 끌어들이려 한다. 하지만 기존 기업의 관리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환경이 전술했던 이유로 인해 어색하기만 할 뿐이고, 위에서는 비용 문제로 검토해 보라 하지만 도무지 기존의 상식으로는 긍정적인 대답이 나오지가 않는다. 그래서 IaaS를 구현한 업체들은, 대부분의 장비를 놀린다. 글쎄, 이러한 부분이 실제로 악순환이 될 지, 아니면 언젠가는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 져서 사용에 거리낌이 없어질 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분명한건 있어도 잘 못쓴다는 것이다. 만들지도 못하고, 만들어 줘도 잘 쓰지 못한다. 그런데 준비도 안된 사람들이 만들겠다 하는 경우는 많다. 

어머나_터져버렸네_JPG



우리나라에서 Flickr 같은 서비스를 만들면 투자 받고 성공 할 수 있을까? 또는, Vimeo 같은 서비스를 만들면 어딘가에서 인수 해 줄까? 또는, 앞으로 등장할 새로운 무언가를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로 만들면, 투자를 받아서 사업을 키우거나 또는 동일한 사업을 하는 보다 큰 기업에 인수 합병 될 수 있을까? 모든 대답이 부정적이다. 작은 기업에서 만들면 큰 기업에서는 내부에 얼른 똑같은거 만들어라 지시하고, 자본력으로 '소녀시대'와 같은 모델을 앞세워 홍보해서 자사의 서비스를 만들 뿐이다. '페이스북' 의 영화에서 주커버그 처럼 남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서비스를 만들었다면, 성공한 이후에 법정 싸움에서 정당한 비용을 뱉어낼 수 있어야 한다. 글쎄, '올레 톡'이나 '마이피플'이 '카카오톡' 에 비용을 과연 지불 할까? 하긴, '카카오톡' 조차 핵심 아이디어를 어딘가에서 가져오지 않았다는 부분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으니 그저 서로들 쉬쉬 하면 되는 것일까. 



아무튼, 이 모든 이유로 인해 IaaS는 만들기도 쉽지 않거니와, 또 만들었을때 사용할 고객도 별로 없다. 다만, 대기업의 기존 인프라의 대규모 마이그레이션이 뒤따를 뿐이지 않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들 부나비처럼 만들고자 하는 것은, 바로 시대의 흐름이기 때문이며, 기술의 쉬프팅이 여기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분명 먼저 구현해 낸 기업은 그들만의 내재화를 먼저 시작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며, 이렇게 진행되고 발전된 내재화 뒤에는 '역량'이 쌓이게 되므로, 많은 인프라가 IaaS 위에서 동작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또한, 이런 내재화를 이룬 사람들, 즉 클라우드를 경험하고, 만들어 보고, 사용해 본 사람들이 나중에 신규 서비스 제작에 투입될 경우에 발생하는 인력에 대한 재교육 등의 미래 사건을 통해, 점차 사용자는 점진적으로 늘어나지 않을까 싶다. 

IaaS 세미나를 진행하는 모 담당자에게 자료를 전달했다. IaaS 를 구현할때 각 포인트에서 기술적으로 중요한 부분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컨설팅을 받는것이 좋다, 라는 내용의 어찌 보면 회사 입장을 대변하는 뭐 그런 내용의 자료였단다. 모 담당자의 연락은, '내용이 부실하니 보충했으면 좋겠다, 혹시 샘플 없는가' 라는 입장이었다. 컨설팅이란게 계약 전에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IaaS의 경우 구현하려는 목적과 사이징에 대한 정보도 없이 내부 개발자에게 'Quick Install' 에 가까운 해답을 원하는 것이라면, 글쎄, IaaS란 여태 서술한 대로 '카톡 잡아 먹듯이' 해서 만들 수 있는게 아닙니다 일테다. 그나마 그마저도 어도비 Air를 사용해서 데스크탑용을 구현 했으니, phonegap 이나 appcelarator 를 알고 있는 자들에게는 얼마나 웃을일일텐가. 


옛다_샘플_JPG




길고 구질구질하게 썼지만, 인프라에 발생하는 기술이동은 완전 새로운 것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잘알려진 패키지들의 조합을 통한 새로운 인프라의 구성에 내재화가 필요하다는 말은, 돌려 말하면 '오픈소스'의 사상과 이에대한 기술이 뛰어난 인재들을 기업 내부에 키워야 하며, 이들을 통해 오픈소스에 기여할 때 우리가 원했던 시대적 흐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일테다. 


클라우드 IaaS 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가장 첫 단추는, 발전된 시각에서의 Amazon / Rackspace 서비스의 분석이다. Compute 와 Storage 는 시작이 될 수는 있겠지만, 실제 고객이 구성하려는 서비스에는 부가적인 많은 것들, 이를테면 DB, Queue, Load Balancing 등이 필요하게 된다. IaaS 는 '가상화' 라는 단순한 내용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어떠한 인프라들을 서비스로 제공할 지에 대해 명확하게 깨닫지 않고, '샘플 없나요?' 따위로 접근하게 된다면 심각한 문제가 된다. 저런 멘트를 던지는 담당자는 필시 프로젝트에 손을 대지 못하게 하는 것이 정답. 

처음에 말했지만, 클라우드 구현은 '모방' 이 필요한 부분이다. 헌데, 가만히 보면 각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알겠는데 이것들을 어떻게 '조합' 했는지는 참 모를일이다. 바로, 이게 기술인 것이다. 우리의 현대 자동차나 독일의 메이저 3사가 가지고 있는, 그들만의 조합의 방법이 바로 기술이 되는 것이다. 부품의 베이스는 Bosch 와 같은 업체 또는 각 국가의 내부 인프라에 속한 기업들이 생산해 내는것으로 동일하겠지만, '완성차' 라는 것은 각 브랜드 별로 그 색깔과 기능이 확인히 다르게 된다. 바로 이부분이 모방하기 힘들기 때문에 노련한 사람들, 그리고 경험있는 사람들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창의'스러운 '모방' 이 필요한 것이다. 물론, 우리가 보다 좋은 인프라, 즉 오픈소스의 수많은 컨트리뷰터를 가지고 있다면 이런 고민 하지 않아도 된다. 굳이 우리 현대차를 중국산 차량과 비교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의 맥락에서 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분명 먼저 서비스를 만들지 못한 후발주자 이며, 인력을 확보하지 못한 모방자라는 사실, 그리고 이해 없이 단순히 우리도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와 같은 접근은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를 가져 올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매번 느끼는 거지만, 오픈소스는 정말 이제는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이다. 원래 이쪽을 보기는 했지만, 이제는 무엇을 검색하더라도 오픈소스가 걸리지 않는 경우는 드물다. 심지어 겜보이 조차 오픈소스로 만들어대는 세상이니 말이다. 따라서, 누가 많은 오픈소스를 알고 있느냐의 싸움이 아니다. 누가 이 환경에 익숙하며, 필요한 것을 빨리 경험해서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가의 싸움 일 것이다. 


DIY Open Source Game-boy



우주선도 만들겠다. @_@ 

(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


Perfume of the Temptation, Interview with the Vampire

Stories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추석은 아무래도 '고전영화 다시보기'의 시즌인지라 그 의미를 나름 되새기기 위해서 94년도의 영화를 한편 보았다. 참 오래도 됬다. 이번이 벌써 열번째 정도 다시보는 영화이긴 하지만, 그래봤자 '다이하드'에 비하면 새발의 피가 아닐까..

꽃미남_두분의_식사_jpg



시덥지 않은 소리는 여기까지로 하고, 이번에 영화를 다시보면서 이전과는 다른 생각 하나가 문득 들었다. 뱀파이어를 다룬 영화중에도 군계일학과 같은 이 영화, B급 영화의 공포를 주는 것은 아니더라도, 오늘은 좀 다른 부분에서 섬뜩한 느낌이 들었다. 마치, '제 1 권력'을 읽을때 느꼈던 그런 기분.

영화의 뱀파이어는 현실에서 무엇으로 치환 될 수 있을까. '피'를 삶의 근원으로 삼으며, '죽은 자의 피'를 마시면 힘을 잃게 되며, 동족을 죽이면 동족에게 죽임을 당하는 그들만의 율법, 또는 그 비슷한 불문율을 가진 존재들. 낮, 혹은 '대명천지', '밝은 곳', '사회의 드러난 부분' 등으로 생각되는 세상의 일부분은 그들에게는 죽음을 의미하며, 영속적으로 살지만 사실은 죽어있는, 또는 '현재 세대'를 반영하지 못하고 고립된 정신으로 자멸하는, 그래서 오히려 영속성을 잃는 모순적인 죽어가는 이들 또는 이미 죽어버린 이들. 사회에 소수로만 존재하며, 일반인에게는 없는 능력을 보유한 채 그 일반적인 사람들, 병들어 죽어가는 소외계층, 또는 취향에 따라 상류사회의 부패한 이들을 타겟으로 삼는 그들. 하지만 영화에서는 실제로 부유층이 '피'를 빨리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대신, 그들의 '푸들'은 피를 빨린다.

영화를 관통하는 주제는 '영속성을 지닌 이들을 일반인들이 부러워하고, 그 영원한 젊음을 닮고 싶어 하지만 그들조차 지난 세상의 정신에 머무르고 고립된 채로 결국은 허무하게 살아가야 하는, 즉 영원의 삶에 대한 모순'을 이야기 하는 것 처럼 보인다. 이전까지 그렇게 보아 왔고, 또 그렇게 즐겨 왔으며, 하여 '가질 수 없는 것에 대한 욕망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라는 계몽적인 사상을 품고 있는 영화 정도로 생각 했었는데. 이러한 생각은 나이를 좀 더 먹어서인가 아니면 세상을 인식하는 시각이 좁아 져서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저 모든 특징들은 마치 '자본의 속성' 또는 '권력의 속성' 으로 치환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정말로 갑자기 들었다.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하는, '로또를 맞으면 참 좋겠다' 같은 것들. 길거리에 우연이 마주치는 포르쉐(포르쉐 정도로는 약한가) 또는 페라리와 같은 차들을 보면 문득 들게 되는 '저 차 주인은 뭐하는 사람인가' 하는 생각들. 그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나도~' 하는 생각들. 이런 욕망들은 마치 뱀파이어의 아름다움, 또는 그들의 키스에 현혹되는 그야말로 일반인들의 모습이 아닐까 싶다. 이 자본주의 세상에서, 보다 자본으로서 가치있는 것들에 욕심을 품게 되는 인간 본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와 같은 것들이 그대로 영화에 담겨있었던 것은 아닐까.

그럼 반대로 나 스스로 조차 일반인(일꺼야)이기 때문에 경험해 보지 못하고, 그저 그럴거야, 하는 그들의 세상은 과연 어떨까. 인터뷰를 하는 크리스찬 슬레이터와 흡혈귀가 되어버린 브래드피트의 대사가 그것을 말해준다.

'뭐가 보였죠?'
'말로 설명할 수 없지'
'천국은 어떠냐고 묻는 것과 같아. 인간은 알 수 없지'
'조각상이 움직이는 듯 했으나 가만히 있었고, 세상은 변했으면서도 그대로 였어.'
'밤의 아름다움에 눈물 흘리는 뱀파이어로 태어난 거야'

(양민 대표)_나도_너처럼_되고시퍼용_JPG



'흡혈귀는 암으로 죽는 일은 없겠죠?'
'아마 그럴거야'

난_질병저항_만땅이야_JPG



로또를 맞아 버리면, 그렇지 않을까? 한 순간에 권력을 손아귀에 넣으면, 그런 기분이 들지 않을까? 바로, '세상은 전과 같지만, 모든 것이 다르게 느껴진다.' 는.

하지만 그렇게 생긴 능력(자본과 권력)은 스스로 무너진다고 영화는 말한다. 계속 그들의 세상(밤)에서 피를 빨고, 그들의 동지를 조금씩 조금씩 늘려가지만, 그들은 스스로 고립되며 긴 세월동안 새로움을 얻지 못하면 '껍데기'로서 퇴화된다.

그들 중 유일하게 특출난 흡혈귀였던 루이는 그들 사이에서 매력적인 존재이며, 비교적 격하게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해 가며 살아가는 캐릭터가 된다. 그러한 적응력은 '인간'으로서의 루이만은 버릴 수 없었던 본성에 의존하는 것으로, '인성'을 버린 흡혈귀가 그를 흡혈귀로 만들어 버리긴 했지만 빼앗을 수 없던 것이기도 했다. 그래서 루이는 모든 흡혈귀에게도, 또 모든 인간에게도 사랑받는 진정으로 양자에게 사랑받는 존재가 된다.

돈의 아름다움이란 정녕 강력한 것일 테다. 작게는 원하는 차를, 원하는 집을, 또 원하는 회사를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나은 교육을 통한 자기계발 또는 자손 계발을 이루어 낼 수 있다. 나아가, 원하는 만큼 얻을 수 있다면 원하는 빌딩, 원하는 지역을 손에 넣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것들을 가질 수 있는 사람들은 정녕 극소수에 불과 할 것이며, 그들만의 리그를 통해 조금씩 증식 될 것임은 자명하다. 그러한 사회에 들고자 하는 욕망, 그것은 또 극소수를 제외한 많은이가 가진 것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그 세계는 갇혀있기에 고립되어 있지 않은가 하는, 그래서 꼭 좋은 것 만은 아니다 라는걸 '뱀파이어'라는 주제를 통해 이야기 하고 있지 않나 싶다.

돈의 아름다움은 다시 돈의 무서움으로도 바꿀 수 있게된다. 필요한 만큼 가지고 있지 못할 때,  질병과 병마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심지어 뱀파이어 조차도 피가 없다면 살아 갈 수 없다. 그렇게 사그러지는 생명들은 마치 레오나드(톰 크루즈)의 꺼져버린 촛불, 또는 그저 꺼 버릴 수 있는 촛불처럼 약하며, 유린당할 소지가 높다. 글쎄, 그것 역시 서로 물거나 지켜내어 생명을 지켜야만 하는 양랍할 수 없는 존재라서 그랬던 것은 아닐까. 또 그것은 서로가 서로에게 과연 '악'으로서 규정 될 수 있는 것일까.

현실 말고 영화에서의 해답은 안토니오 반데라스의 대사에 있는 것 같다.

'당신은 답을 아는가?'
'뭐가 궁금한데?'
'우리는 무엇이지?'
'흡혈귀는, 흡혈귀일 뿐이야.'
'누가 우리를 만들었지?'
'알고 있잖아. (대화에서는 '레오나드'를 의미)'
'하지만 누가 그를 만들었지? 이 모든 것들의 근원이 뭐지? 이 악 말이야'
'알겠어'
'극장에서 너를 봤지. 고통스러워 하더군. 그 여자에 대한 동정심으로.'
'남을 죽일 때, 너도 죽어. 피를 빠는 자신이 죽어 마땅하다고 생각하는군' 
'그래서 자신이 악하다는 건가?'
'그렇다면 선을 인식하면 선한 사람이 되나?'
'선과 악이 없다고?'
'아마도. 하지만, (촛불에 손을 스치며) 이 느낌, 이것만이 유일한 악이야'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는 신을 몰라. 악마도. 본 적도 계시를 받은 적도 없고. 저주도 구원도 받은 적이 없어.'
'내가 알기론 그래. 난 400살이야. 이 세상에서 가장 나이 많은 흡혈귀지.'
'두려워 하던 대로군..'
'넌 두려움이 너무 많아. 나까지 두렵게 만드는군'

네녀석이_궁금해하는걸_알려주마_JPG



대화는 마치 현실의 모진 진실을 깨달아 버린 사춘기의 수렁을 막 벗어난 청년과 80먹은 노인의 대화 같지만, 이 불가의 선문답 같은 어려운 대화는 그 속에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 않은가. 그야말로 어려운 선과 악, 도덕, 그리고 신에 대한 인류 역사의 모든 모진 난제들을 한꺼번에 다 던지고 있다. 하지만 결국엔, 현실에 대해 무엇도 확실 한 것은 없지만, 400년이나 살아도, 또는 그렇게 많은 부 또는 그렇게 강한 권력을 손아귀에 넣은 채로, 심지어 그들의 수장으로 살게 되어도 루이에게는 얻고 싶은 것이 없다는 점 만은 명확해 진 듯 하다. 후회는 없지만 희망도 없는 모습. '인간'이라면 버릴 수 없는 두가지의 모든 것을 잃어버려야 살 수 있는 뱀파이어. 하지만 그것을 버리고 살다보면 다시 언젠가는 삶의 이유를 잃게 되는 것도 또 역시 뱀파이어.

안토니오 반데라스의 캐릭터는 일견 멋진 것 같지만 다음의 대화에서 자신 역시 이미 모순덩어리 임을 깨닫는다. 인간의 본성을 버리라 하지만, 그 스스로는 다시 인간의 본성을 루이에게서 얻으려 하는 것.

'내게 그것을 가르쳐 주겠다고? 후회 없는 존재가 되는 것?'
'우린 멋진 한 쌍이 되겠군'
'하지만 내가 그런 수업에 관심이 없다면?'
'뭐?'
'난 계속 고통 받고 있어. 번민(후회)만 가득해.'
'그런 감정은 떨쳐 버려'
'당신은 감정을 원하잖아'
'네가 태워버린 그녀를 애도하는 이 마음을.'
'난 절대....'
'네 짓이란 거 알아. 난 알아.'
'넌, 후회가 없고, 아무것도 느끼지 못해.'
'가르쳐 준다는게 고작 그거라면, 난 내 식대로 살겠어.'

이런식이면_곤란해_JPG



'루이, 난 죽을 거야'
'아니, 넌 이미 죽었어. 내가 널 다시 살려주길 바럤지.'
'당신의 초대장이 아주 솔깃 하기는 했지만'
'아쉽게도 거절해야겠군'

그런_슬픈표정_짓지_말아요_JPG



그들과 한 무리가 되었지만, 그들이 사는 방식이 더 많은 사람들의 일반적인 기준으로 자신과 맞지 않음을 깨닫고, '피'가 아닌 다른 많은 것들을 누리면서 살고자 하는 모습을 거부하는, 또 그 거부를 죽음으로 맞이하는 반데라스의 모습에서 결국 피보다 인간으로서의 감정이 살아가는데 더 중요한 것이다 라는 주제를 던진다. 이런 주제는 '돈을 벌기 위해서는 무엇이든 해도 좋은가' 와 같은 자본의 자가증식 방식에 대한 너무도 심오한 질문이어서, 짱구를 아무리 굴려봐도 공돌이에게는 쉽지 않은 주제인건 맞다.

그런 생각이 든다. 모기가 흡혈을 하는 것에 죄책감을 느낄 것인가. 어디에선가 읽었던 이야기 처럼, 사자가 사슴을 잡아 먹는 것을 악으로 규정하고, 사냥을 하지 않는 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하지만 우리는, 사람은, 공자 맹자의 도덕을 배운 우리는 또 그러한 짐승의 시각이 우리에게도 적용된다는 약육강식의 법칙에 그대로 순응해도 좋은가.

루이는 죄책감을 피하기 위해 또는 인성을 지켜내기 위해 짐승의 피로 인간의 피를 대신 했고, 존재 본연의 욕망 또는 유혹에 허물어져 클라우디아를 물고, 다시 심하게 자책하며 자각했다. 후에 클라우디아에게 가족을 만들어 주기 위해 다시 사람의 피를 취함으로서, 자신의 인성을 잃었으므로 '우리는 이제 서로 빛진게 없다' 한다. 그렇게 잃은 인성은 다시 반데라스옹이 클라우디아를 죽임으로서 '분노'와 '슬픔'이 되살아 나고, 그걸 통해 반데라스는 희망을 되찾고자 하지만 루이는 '인간의 감성'으로 그것을 거부한다. 이게, 영화에서 제시하는 유일안 대안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각 대사와 흐름을 보면 시나리오 또는 원작자는 사서삼경과 주역을 깨달아 버린 정말로 천재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아무튼 또 쓸데없는 소리는 고만하고...

뱀파이어의 키스는 로또를 맞는 순간의 희열과 같을 것이다.
나는 과연 길바닥에 돌아다니는 그 수많은 키스의 유혹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오히려 그 유혹을 사무치게 쫒을 것인가.

아쉽게도, '피'는 누구에게나 필요한 것 같다. 자유로울 수 없겠지. 그런 자유는 오로지 루이만이 느낄 수 있을 테지만, 그처럼 산다는 것은 결국 그가 말한대로 '허무'이상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거리를 걸으며 잃어버렸던 향기를 오랫동안 즐겼지.'


모두가 양민이거나, 모두가 뱀파이어라면 그런 세상은 과연 존재 할 수 있을까.

벤츠 CL63 AMG 의 스마트키를 가지게 되면 세상이 달리 보일까. 
영화 한편에 너무 쓸데 없이 많은 생각을 하는 것은 아닐까.
난 대체 무엇이 되고 싶은 것일까. 나아가,
난 왜 이런 글을 쓰고 있는 것일까.

오_마이_사회_지도층_JPG




역시 추석은 명작 감상의 시즌인 것이었다. 마지막 사진은, 웬지 마치 루이 같은 느낌의 현빈님.
남자가 봐도 므찌심.



다른 영화 뭐 또 뭐 없나.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푸른 소금 - 마치 한편의 순정영화

Stories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전보다 나아진건지 어쩐건지 이제 일년에 극장에 두번은 간다. 나이를 먹는건지 이제 20대에 줄기차게 즐겨보았던 영화들 중 재미난 영화도 기억에 가물 가물 하고, 하는 일과 특별히 관계된 것이 아니면 기억도 잘 나지 않는 것이 누군가가 머리에서 지워버렸나 싶은 생각도 가끔 든다.

그런 와중에, 어쩌면 모호해서 석연치 않을지도 모를, 아름다운 영상미를 가진 영화를 심야로 한편 보게 되었다. 그나마 휴가를 휴가처럼 보낼 수 있게 해 준 영화, '푸른 소금'. 

이것은 마치 파이날 판타지

Image from: http://www.nemopan.com/files/attach/images/1116443/698/966/004/%ED%91%B8%EB%A5%B8%EC%86%8C%EA%B8%88_001.jpg

푸른 소금, 정말 제목 잘 지은 것 같다. 의미를 풀이 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내가 만화를 매우 즐겨 보는 것은 아니지만, 이 영화는 순정물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문득 든다. 사는데 꼭 필요한 소금과 맑음을 상징하는 푸름, 어줍잖은 생각에는 맑은 사랑, 뭐 그정도가 아닐까 싶은 생각. 그래서 새로운 장르, '순정 영화' ㅋㅋ

일견 '아저씨'의 주인공들이 나이를 먹으면 이런 느낌이지 않을까 싶은데, 단순히 그렇게 비교하기엔 신세경님의 홀려버릴 듯한 깔끔한 미모와 원빈만큼은 잘 생기진 않았지만 나직하게 중얼거리는 한마디가 더 가슴에 와 닿는 나이스 중년 송강호님의 조합은 순정물의 표지에서 풍기는 느낌과 얼추 비슷하다고 할까..

나이스 중년

Image from: http://extmovie.com/zbxe/files/attach/images/126849/183/210/002/s2.jpg


모든 것을 포용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모든 것을 감싸 안으려면 당최 어떤 난관을 겪어야 그렇게 할 수 있을까. 남자라면 찐한 북어국 한 그릇에 총까지 맞아 주어야 할 대인배의 기질을 가져야 하는 것일까. 영화의 다른 모든 것들 보다, 돌멩이를 보석으로 만드는 그 대인배스러운 무언가가, 예전에 은석이가 말했던 '아무 생각없이 과연 찔레꽃을 사랑할 수 있을까' 의 멘트가 현신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난 그냥 니가 더 잘 살았으면 좋겠어' 라는 상투적인 멘트는 송강호님이 뱉었기에, 20대의 배우가 아니기에 더 가슴에 와 닿는다. 치기어린 연인의 감정이라기 보다는, 마치 아버지가 딸에게 바라는 마음과 같은 느낌. 그래서 아무런 댓가 없이, 아무런 생각 없이 그저 돌멩이 같았던 그녀를 보석으로 만들 수 있었던게 아닐까. 대인배의 호연 지기를 기르기 위해 극 초반에 그렇게 바다를 주구장창 보셨는지도 모를일이다.

사채를 빌려쓴 친구를 위해 폭력배의 협박에 굴하지도 않고, 팔아버린다는 멘트에 당당하게 맞서고, 초반부의 약간 여성간의 동성애스러운 묘사들이 무언가 신세경님이 분했던 역할의 청순함을 강조하려 했던 장치들이라 해도, 그녀는 스크린에 비추어지는 그녀만으로 이미 나쁜 의심이 들 가능성 자체를 없애버린다. 가죽 점퍼에 바이크는 무얼 상징하는지 모르겠지만, 고등학생 관람가인 이 영화에서 헬멧을 쓰지 않고 멋들어진 대배기량 네이키드 바이크를 타는 모습은 일견 청소년에게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겠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이미 청초하다. 그 청초함 때문에, 헬멧 없이 오토바이를 타는 장면이 미칠수 있는 영향은 이미 90년대 영화 '비트'의 정우성님이 다 배포해 버렸기 때문에 보는것 만으로도 아침이슬 같은 그녀를 욕할 수는 없다 라고 말하고 싶다. 그 만큼 그녀는 이 한편의 만화같은 이야기에 자연스레 녹아들며, 수많은 남성 관객을 집중하게 만든다.


느와르와는 다른 남자의 매력이 물씬 풍기는, 90년대 유행했던 '남자의 향기' 소설의 주인공과 같은 포용력. 자신이 무엇인가, 어느정도에 있는가를 아주 잘 아는 그런 남자의 이야기.

좀 아쉬웠던건 주인공을 제외한 각 인물들의 매력이 충분하게 발산되지는 않은 것 같다 라는 느낌. 이경영님은 김영철님과는 비슷한 듯 다르게 어두운 보스의 느낌을 풍기지만, 줄거리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필요 충분 조건 이상의 느낌은 별로 없다. 김민준님이 분했던 역할 역시 신세경님이 총 다루는 모습을 보고 동업자간의 경외심인지 짝사랑인지 모를 이상한 감정을 품은 간지나는 킬러 이상은 아니지 않았나. 윤여정님 역시 결정적인 순간에는 물렁했던. 이야기를 구성하는데 있어 인물의 관계가 주인공들의 삶에 분명 영향을 끼침에도 불구하고 임팩트 있게 와 닿지 않았던 것은, 송강호님의 보드라운 남자 냄새와 마치 화보와 같았던 신세경님의 미모 때문이라고 생각하기엔 뭔가 석연치 않다.

이분은_판타지에서_오셨나_JPG




많은 작품에서 색깔있는 역할로 등장하셨던 오달수님. 특히 '달콤한 인생' 에서의 총기 매매상 역할이 이 푸른 소금에서도 오버랩 된다.  푸른 소금에서 몇 안되는 신세경님의 미소 중 가장 밝은 모습인 것 같다. 또한, '우아한 세계'에서 송강호님과 순대국집에서 결투아닌 결투를 하는 장면은 큰 즐거움이었달까. 기억날 만한 영화에서는 항상 암흑가에서 일하지만 유쾌한 느낌을 선사하는 역할을 자연스레 소화하시는 희한한 분.


이번 작품에서도 '하녀'의 역할로 분하셨던 윤여정님. 청부살인업체의 사장님. 권력의 주구로서 탐하는 달콤한 와인을 사랑하는 역할은 하녀에서의 이미지와 다르지 않았다랄까. 실패한 직원을 용서하지 않는 성격은 후반부에 와인때문인가 많이 누그러진다. 아마 신세경님이 분했던 조세빈이 너무 예쁘고 깜찍해서 쏠 수가 없었으리라... 아;; 그만..

김뢰하님_1



김뢰하님_2



'살인의 추억' 에서 형사의 역할을 했을때 '아, 이분도 장난아니다' 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었다. 영화속의 모습을 보면 실생활에서도 무서운 분일 것 같다 는 생각이 들 정도. 역시 '달콤한 인생'에서 비열한 건달로 분하셨을 때도 인상깊었다. 개인적으로 '달콤한 인생' 정말 사랑하는데, 김뢰하님께서 분했던 양아치 역할이 정말 강하게 와 닿지 않았다면 영화 마지막 이병헌님의 무대뽀 총질을 절대 이해 할 수 없었을게다. 이 영화에서는 실마리를 하나 던지고 단명하신다는. 심지어 어떻게 단명하는지 조차 화면이 없어서, 영화의 대사에 집중하지 않으면 어떻게 극에서 사라져 가는지 절대로 알 수 없을 것이다.

완전미남_천정명님


충직한 수하의 역할, 그리고 송강호님과 함께 극에서 눈빛 개그를 선보였던 천정명님. '애꾸'라는 역할은 얼굴의 흐릿한 흉터 분장을 찾아내기 전 까지는 왜 애꾸인지 잘 몰랐다. 언젠가 멋진 느와르 영화의 주연을 맡아도 잘 어울리겠다 라는 생각. 많은 사람들이 그닥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 엔딩이 나에게는 좋았기 때문에, 그 엔딩 속에서의 이 남자의 모습 역시 썩 마음에 들었다.

이종혁님


'주유소 습격사건' 에서 처음 보았을때, 정말 잘 생긴 분이다 라고 생각했다. '비열한 거리'에서도 역시 같은 느낌이었고. 한번에 확 대스타 반열에 오르지 못하는 것을 항상 이상하다 생각 했었지만, 점점 격상되는 것 같아서 좋은 배우. 나중에 더 나이를 드시면 천호진님이나 김영철님과 같은 암흑가의 보스 또는 어딘가의 우두머리가 잘 어울릴 거 같다는 느낌.





개인적으로 한국영화 참 좋아한다. 그렇다고 90년대 이전의 작품들에까지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90년대 말, 그리고 2000년대에 개봉했던 많은 영화들은 정말 좋아하는 것이 많다.
'사생 결단', '살인의 추억', '달콤한 인생', '초록 물고기', '우아한 세계', '잘 알지도 못하면서', '황해', '이웃집 남자' 등등등등의 많은 한국 영화들. 이 영화들에는 눈에 띄는 매력적인 캐릭터들, 그리고 그 캐릭터에 분했던 수많은 배우분들이 계시다. 특히 '이웃집 남자'의 윤제문님의 경우, 우아한 세계와 비열한 거리 양쪽에서 은갈치 양복이 매우 어울리는 인상 깊었던 분이었다. 개인적으로 송강호님, 윤제문님, 김윤석님은 서로 색이 다르면서도 어딘가 비슷한 향기를 풍기는 구석이 있지 않나 싶다.  이웃집 남자에 대한 감상은 여기.

아무튼 실력을 가진 분들이 좋은 연기를 통해 아름다운 영상 속에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모습을 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한국 영화만 DVD로 구매해서 벽 한켠에 쌓아 두고 틈틈히 돌체 구스토가 만들어내는 커피와 함께 프로젝터를 통해 즐기는 것은 상상만으로도 행복하다.

그런 재미난 한국 영화의 연장선 상에서, '추격자'나 기타 많은 영화에서 보여졌던 인물간 대립구도가 아닌, 남녀 주인공의 순정만화 같은 새로운 색깔의 발견은 영화의 제목 만큼이나 신비하고 새롭다. 다른 모든 것들, 이를 테면 첫장면에 영화의 엔딩을 예상 할 수 있는 부분들을 차처하고서라도, '푸른 소금'은 무언가 새로운 색깔의 영화였다는 점에서, 난 2시간여에 달하는 러닝 타임이 매우 즐거웠다.

앞서 이야기 했던 것처럼, 누군가에게는 별로인 영화가 될 수도 있겠다. 캐릭터 간의 관계와 캐릭터의 성향이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는 느낌 보다는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서 캐릭터가 존재하는 부분들이 분명 있어보인다. 그래서, 대부분의 인물들이 이야기 구성의 소임을 마치면 죽거나, 등장하지 않는다.

그저 보통의 관객으로서, 영화의 스토리가 '추격자'처럼 정점에서 환상적으로 폭발 하지는 않고, 그만큼 치밀 하지 않다고도 생각 한다.  하지만 어떤가.  블리자드 같은 바람이 있으면 춘삼월의 봄바람도 있는것이 아니겠는가. 극중의 대사 처럼, 빨강색 검정색 64비트의 RGB 로 조합될 그 많은 색깔이 있는 것처럼, 영화는 내게 그저 또 하나의 새로운 색으로 잔잔할 뿐이다.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는 이남자... 다만, 이전의 영화들과는 그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 언제나 그렇지만, 밥먹는 연기는 정말 세계 최강이 아닐까 싶다. 아직도 '살인의 추억'에서의 변희봉님과 밥먹으며 대화하는 장면을 잊을 수가 없다.




그 잔잔함의 한가운데에 송강호가 있었다, 그래서 달랐다 라고 생각한다. 중년의 남자란 저런 배포와 포용력, 그리고 열정을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닐텐가. 그런 것들이 '아저씨'에서의 원빈 처럼 아, 저런 남자는 현실세계에 없어 같은 느낌을 주지는 않는다. 웬지 어딘가에 은퇴한 잘나가던 중소기업 사장님으로 존재 할 것 같은, 잘 찾아보면 저런 남자도 있을 것 같은, 그런 사실적인 인물의 느낌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송강호님이 아니련가.

또한, 그러한 마음을 품어주는 중년에게 응당 관심과 애정을 품는 것 - 그것이 비록 20대의 지옥불과 같은 것은 아닐지라도 - 역시 인지상정 아닌가. 신세경님의 캐스팅은 실로 절묘했다고 생각한다. 어디로 튈 지 모르는 소녀 같은 느낌, 감수성, 10대의 오토바이, 힘들기에 같이 힘들게 사는 친구를 위해 모든 것을 쏟기도 하는, 그런 천진난만 하지만 가볍지는 않은 그녀. 좋게 보아야 15살 정도 차이나는 아저씨에게 초면에 반말을 뱉어도 밉지 않을 수 있는 여배우가 어디 또 있을까. '집에 바로 가', 웬지 나도 심야를 보다가 그녀의 말을 들어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면... 아.. 그만..;;


푸른 소금



사진과 영상을 좋아하는 사람이면 스토리 말고도 얻을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신세경님의 팬이라면 화보같은 각 장면을 놓치고 싶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다만, 송강호님과 화려한 조연에 부푼 기대를 품고 스크린을 마주하게 된다면, 실망하게 될 지도 모르겠다.

내가 왜 한편의 영화를 보고 저렇게도 많은 영화를 떠올렸는가 가만히 생각 해 보니, 각 장면 장면들이 다른 한국 영화에서의 캐릭터를 차용해서 쓴 것들이 많지 않은가 싶다. 달콤한 인생의 김영철은 이경영, 하녀의 윤여정, 달콤한 인생의 오달수, 역시 달콤한 인생의 김뢰하, 또 달콤한 인생의 진구가 애꾸로, 그리고 어디선가 본 듯한 다른 많은 인물들. 그렇다고 단순히 기존의 영화들을 엮어 만들었다고 하기엔, 조세빈의 등장이 새롭고, 송강호의 연기가 전과 다르기 때문이 아닐까. 이전에는 어떤 직업에서든 치열하게 살아가는 중년의 모습이었다면, 이번에는 인생 달관한 듯한 중년의 인상. 멜로같은 느와르, 느와르스러운 멜로, 눈 앞에 총구를 들이 대어도 '네가 쏴서 편해 질 수 있으면 쏘아라' 는, 그래서 순정영화.

난 극장에 가는것이 연중 행사이기 때문에, 영화를 본다는 사실 만으로도 즐거웠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충분히 재미있는 영화였다. 역시 영화는, 사전 정보가 없으면 없을 수록 실망보다는 만족이 큰 듯.


엔딩이 참 싫다는 분들이 많은데, 난 뭐 좋다. 오히려 우아한 세계, 이웃집 남자와 같이 마치 내 모습 같은 중년이 비극적 삶으로 허물어 지는 것 보다, 색다른 멜로에 집중한 느낌이 짙기 때문에 가볍고도 유쾌한 엔딩이 마음에 든다.

달콤한 인생, 김영철님


이렇게 나이 들고 싶다.

달콤한 인생, 김뢰하님


포풍 나뿡놈 간지



사족을 더하자면 이 영화에서의 신세경님은 마치 파이널 판타지8의 리오나, 파이널 판타지 10의 유우나 같은 느낌이었다. 연예인에게 반하는건 언젠가 SKT 광고에서의 장농 속 이민정님 이후로 두번째인듯. '시트콤을 보지는 않았지만 영화에서의 단편적이고도 개인적인 신세경님에 대한 감상은, 

'신적인 아름다움'.




각 배우님들의 이미지는 다음의 링크에서 가져왔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rtwk84&logNo=10115415965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영화에 대한 감상은 여기.
http://pennyway.net/1744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Raspberry PI, $25 Linux Box based on ARM

Techs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http://www.raspberrypi.org/

Raspberry PI Alpha board



ARM 베이스의 저렴한 리눅스가 임베드된 하드웨어가 나왔다. 가격은 무려 25달러. 아직 판매를 개시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나, 출시될 경우 필요한 산업분야에 굉장히 저럼한 가격으로 원하는 서비스의 구성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생각 할 수 있는 서버/클라이언트 이외에, 예를들면 스키장의 자동화를 위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기반 시스템등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된 바코드를 리프트에서 자동으로 스캔하는 엣지 모듈의 베이스 하드웨어,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특정 온도가 되면 자동으로 눈을 뿌려준다든지 하는, 중앙의 서버와 통신하며 각 지역에 용도에 따라 분산되어있는 모듈의 기반장치로 사용이 가능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비가 기존의 임베디드와 다른 것은, 어려운 SoC를 굳이 배울 필요가 없이 기존의 리눅스기반 프로그래밍 기술과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수준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일 것이다.

딱 필요한 성능 만큼을 극한의 상황에서 구동해야 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 이를테면 자동차나 비행기, 또는 산 꼭대기에 있는 풍력발전 모듈의 제어, 클라우드기반 서비스와 연동 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이를테면 게임, 영상, 기타 등등 필요한 부분은 얼마든지 있다. 이는 단일 PCB 기반의 장치에서 전원/네트워킹/USB 연결만 지원하게 되더라도 그 용도는 무궁무진해 질 수 있다.

물론 이 장치가 그러한 분야에 최적이다 라고 말하기엔 아직 정보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상상해 보라. 일반 서버 한대를 250만원 주고 구매하는 대신, 이 장비를 100대 구매해서 단순 이미지 서비스 용도로 구현 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물론 10/100 이기는 하지만, 네트워크 부분만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한대의 인스턴스 개념으로 사용 할 수도 있지 않을까?

100대의 인스턴스와 100대의 Raspberry. 물론 컴퓨트 클라우드의 인스턴스 만큼 신축성을 가지지는 못하겠지만,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분산의 개념이 잘 적용된 애플리케이션 구동에는 비슷한 성능을 보이지 않을까 한다. 

하지만 모든 것이 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기존에 우리가 상상해 왔지만 임베디드 전문가가 아니면 범접하기 힘들었던 부분들에 보다 쉽게 접근이 가능 할 것이다.

아래는 아직 개발중인 Alpha 장비(위의 사진)를 사용하여 Quake III 를 구동하는 영상. 비록 퀘이크가 오래된 게임이긴 하지만, 이 정도의 성능은 일반 모바일 장치를 뛰어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aspberry Pi alpha PCB



이 장치의 PCB. 현재 개발중인 Alpha 버전과 나중에 상용화될 장치의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 최종 상용버전의 크기는 신용카드 크기 정도가 될 것이며, 알파 보드는 이보다 20%정도 더 크다. 사진에서 확인 할 수 있듯, 이미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에 필요한 사이즈가 반영되어 있다.
  • 알파보드는 6레이어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최종 버전의 출시 이전에 해결해야할 성능상의 문제가 일부 있다. 이러한 부분들에 알파 보드에서는 비교적 고가의 칩셋, 이를테면 HDI (blind, buried vias, via-in-pad) 와 같은 기능들을 하드웨어로 처리하는 칩셋을 사용하고 있다.
  • 알파 보드에서는 최종 버전의 보드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다양한 테스트와 디버깅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략적인 스펙은

  • ARM-based application processor
  • SMSC LAN9512 USB 2.0 hub
  • 10/100 Ethernet controller

모델 A와 모델 B가 출시될 예정이며, 두 장치의 차이점은 모델 A는 128MB 의 메모리, 모델 B는 256MB의 메모리가 포함된 것이다. 모델 A의 경우 $25 수준이며, 모델 B의 경우에는 이보다 5~10 달러 정도 더 비싼 수준일 것이라 한다. 2011 년도 내에는 공급 될 것으로 보인다.

Raspbearry Pi running Ubuntu 9.04




prototype with 12M Pixel camera module


12M 픽셀 카메라 모듈을 붙인 프로토타입의 위용. USB 포트 사이즈를 통해 실제 하드웨어의 크기를 짐작해 볼 수 있다.


2000년대 초반 즈음, 어느 외국의 패션쇼인가 잡지에서 '컴퓨터 옷' 을 만들어 입고 치렁치렁 부품을 달고 돌아다니는 사진을 접한적이 있다. 그때는 피식 웃고 말았지만, 이제 세상은 정말로 USB 메모리 스틱만한 '제대로' 동작하는 컴퓨터를 만들어 내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및 전화의 기능성으로 인해 모든이들이 들고다니는 용도의 사용성 보다는, 아마도 종전의 임베디드 분야에서 더 필요한 하드웨어가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