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용 서비스 - Spring Cloud - #2 Configure to Config server
Techs(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
언제나 설정은 프로세스 동작을 위한 필수 요소였다. 오래된 대부분의 서버 데몬들은 /etc/ 아래에 위치한 설정들을 필요로 했고, 이 설정들은 보통 데몬이 동작할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와 같은 것들, 그리고 데몬 (또는 프로세스)의 기능을 조정하는 각종 플래그나 변수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이 설정이 변경되어 적용이 필요하다면 프로세스의 재시작 또는 리로드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운영중인 서비스에 포함된 데몬의 설정 변경은 프로세스 재시작으로 인한 서비스에 순단, 또는 그 데몬의 캐시 사용 여부등에 따라 웜업(warm up)등의 작업,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이중화를 통한 무중단을 고려해야 하는 등의 고급진 운영의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려운 것 보다는 쉬운 방향으로 일을 처리하기 때문에, 서비스에 중단 시간을 사전에 공지하고 이 시간내에 설정의 변경, 프로세스의 재시작, 정상 동작의 확인과 같은 일을 수행한다. 따라서 서비스를 사용중인 사용자들은 서비스 중단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런 패턴은 고객을 위한 행동이라기 보다는 운영의 편의를 위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서버를 클라우드로 바뀌면 모든게 해결되는 줄 알던 시대가 있다. 다운 타임도 스르륵 사라지는 줄 알던 분들도 꽤 있었다. 그렇지 않다. 클라우드의 기본은 "무엇이든 언제든지 뽀개질 수 있다" 이며, 대신 "언제든 조달 가능한 리소스가 있다" 의 가치를 통해 뽀개짐을 새로운 대체재로 치환 하는 기술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에 포함되는 컴포넌트는 "뽀개지면 요렇게" 의 사상을 가지고 만들어져야 궁극적인 제로 다운타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그 "뽀개지면 요렇게" 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까. 다음번에 자세히 소개하겠지만, Netflix 에서는 Simian Army 라는 도구를 운영한다. 이 도구가 하는 일은 무려 프로덕션 서비스에서 동작하는 서버들을 랜덤하게 죽인다. 물론 프로덕션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배포하기 전에도 테스트에 사용된다. 즉, 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프로덕션에 배포될 수 없다. 우리 나라에 운영 하시는 분들은 아마 이런 구성을 상상이나 하겠는가. 잘 돌아가는 서버를 끈다니 이 무슨 천인 공노할 일인가 말이다. 라고 생각하시겠지. 다음번 소개 이전에 궁금하신 분들은 넷플릭스의 테크 블로그로. (http://techblog.netflix.com/2011/07/netflix-simian-army.html)
Chaos Goriila - Netflix Simain Army
위의 이미지는 카오스 고릴라 (Chaos Gorillia) 의 이미지다. Simian Army 에서 카오스 고릴라가 하는 일은 아마존 웹 서비스의 특정 AZ(Availability Zone) 전체의 인스턴스를 다운시킨다. 즉, 데이터 센터 레벨에서의 고가용성을 프로덕션에서 테스트 한다는 말이 되겠다. 한국의 서비스 중에 이런 레벨의 고가용성을 유지하는 회사가 어디 있겠냐 말이다.
어쨌든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변경을 통한 빌드, 재배포, 그리고 이 재배포로 인해 발생하는 다운타임은 그다지 달가운 것이 아니다. 그리고 설정의 변경때마다 새로운 빌드와 새로운 배포를 해야 한다는것은, 만약 매뉴얼 작업으로 처리하고 있다면 꽤나 귀찮고 불편한 일일 것이다. application.properties 에 설정을 변경하면 새로운 jar 또는 war 를 만들어야 하고 만약 톰캣을 따로 사용하고 있다면 파일을 일단 서버에 전송한 후 특정 위치에 배치한 후 프로세스를 재시작한다. 뭐 서버 한두대 돌릴때야 별 문제 없는 방법일지도 모르지만 넷플릭스와 같이 수십, 수백, 수천대의 인스턴스가 동작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어떨까. 이런건 업데이트 공지 한시간으로는 안된다.
그리고 한가지, 아마존 닷컴이 업데이트 한다고 서비스 1시간 다운 시키면 아마 뉴스에 날거다. 주가는 떨어지고. 아마존 웹 서비스는 어떤가.
우리는 이러한 문제가 왜 발생하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즉, 기능 업데이트를 제외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설정(또는 feature flag)을 바꿨기 때문에 서비스에 중단이 발생한다는 것은 사실 달가운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 귀찮은 배포와 프로세스 재시작이 기다리는 요단강을 하루에 수십번 넘는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 쯤에 Heroku 를 만든 팀이 만들어낸 컨셉인 12 factor 라는게 있다. 내용은 한글로도 있으며, 페이지는 http://12factor.net 에 방문해 보면 현대의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컨셉을 담고 있다. 그것 중, 오늘 이야기할 부분, 바로 설정과 관련된 핵심 그림은 아래와 같다.
https://12factor.net/ko/build-release-run
2. Config 에서 따온 그림은 아니지만, 중요한 내용은 바로 여기에 있다. 설정과 코드는 분리 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합쳐진 것이 바로 릴리즈 라는 개념인 것이다. 이것이 왜 중요한지 간략하게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 이라는 것이 본시 설정이지만 코드 영역에 포함 된 것이다.
- 따라서 변경을 하면 새로 빌드해야 한다. 이것은 새로운 배포를 필요로 한다.
-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레임워크 기본 설정 외에 기능에 필요한 설정은 코드 내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 이것은 배포의 대상이 많으면 많을 수록 (예. 개발 / 테스트 / 프로덕션 환경) 서로 다른 버전의 설정이 코드에 반영되어야 하므로, 관리를 위해 다수의 repository 를 운영하게 된다.
- 결국 코드는 seamless 하게 각 환경으로 배포될 수 없고, 이는 사람의 손과 복잡한 코드 저장소의 관리를 수행해야 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 이 모든것이 설정이 코드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물론 이런 문제를 방지해 주는 여러가지 기법들이 있지만, 전술했듯 사람은 쉬운 쪽으로 일을 한다. 특히 일이 급하면 더 그렇다. 설정을 따로 분리해 내는 것 보다 그냥 코드 안에 도메인이나 IP를 때려넣는 것이 더 편하다. "어? 내 PC에서는 잘 되는데...?"
만약 설정 정보를 API 요청을 통해 한꺼번에 받아올 수 있는 웹 서비스가 있다면 어떨까. 그리고 이 웹 서비스는 코드 저장소를 설정 파일의 소스로 사용한다면 어떨까. 물론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단 이것이 오늘 소개할 스프링 클라우드 Config Server 이다. 넷플릭스에서는 Archaius (http://techblog.netflix.com/2012/06/annoucing-archaius-dynamic-properties.html) 라는 도구를 사용한다고 한다.
스프링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Config server 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의 링크에서 얻을 수 있다. https://cloud.spring.io/spring-cloud-config/spring-cloud-config.html
Config server 의 사용은 이전에 살펴본 넷플릭스 유레카와 마찬가지로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이니셜라이저 (http://start.spring.io)를 사용한다면 매우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Spring Cloud Config Server
- http://start.spring.io 에 접근한다.
- artifact 에 config-service 와 같은 그럴듯한 이름을 넣어준다.
- Dependencies 에서 Config Server 를 찾아 추가한다.
- Generate Project 를 눌러 Zip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이를 IDE 를 사용해서 연다.
- config-service/src/main/java/com/example/ConfigServiceApplication.java 에 @EnableConfigServer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
package com.exampl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config.server.EnableConfigServer;
@SpringBootApplication
@EnableConfigServer
public class ConfigServic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ConfigServiceApplication.class, args);
}
}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아래의 설정을 추가한다. 설정 파일이 위치한 코드 저장소는 github 를 사용했는데, 별도의 git 또는 파일 저장소를 사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Config Server 설정 부분을 참조
spring.application.name=config-server
spring.cloud.config.server.git.uri=https://github.com/younjinjeong/spring-cloud-event-sourcing-config
server.port=8888
-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실행한다.
mvn clean package
java -jar target/config-server-0.0.1-SNAPSHOT.jar
따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WAS 를 사용하지 않았음에 주목한다. 최근 이런 Fat JAR 를 어떻게 서비스에 구동해야 하는지 여쭈어 보는 분들이 종종 계신데, 많이 목격되는 것은 다커(Docker) 를 사용하거나 Cloud Foundry 와 같은 런타임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따로. 어쨌든 서비스가 정상동작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위의 github 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의 링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http://localhost:8888/user-service/cloud
어쨌든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 이제 웹 요청을 통해 코드 저장소에 저장된 설정을 전달할 수 있는 서버가 준비되었다. 서버가 준비되었다면, 클라이언트를 연결해 본다.
Config Server client
- http://start.spring.io 로 접근
- artifact 에 config-client 를 넣는다.
- Dependencies 에 Config client 를 선택한다. 이외에 원하는 부트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Web, Rest repo, H2 등 원하는 도구를 선택한다.
- Generate project 를 눌러 프로젝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을 해제하여 IDE 로 개봉한다. ㅎ
- 별도의 어노테이션 추가는 필요 없지만, 설정 파일에 Config server 의 위치를 명시해야 한다. config-client/src/main/resources/bootstrap.properties 파일을 생성하고 (application.properties 가 아님에 주의) 아래와 같이 Config server 의 위치를 명시해 준다.
spring.cloud.config.uri=http://localhost:8888
spring.application.name=config-client
- 만약 Github 나 별도의 코드 저장소를 사용한다면, config-client.properties 를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간단한 설정을 넣고 Config 서버에 연결된 코드 저장소에 push 한다.
server.port=${PORT:9999}
- 이전에 만들어 둔 Config 서버를 시작한다.
- 지금 생성한 config-client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다.
. ____ _ __ _ _
/\\ / ___'_ __ _ _(_)_ __ __ _ \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1.4.0.RELEASE)
2016-09-19 12:28:37.699 INFO 3977 --- [ main] c.c.c.ConfigServicePropertySourceLocator : Fetching config from server at: http://localhost:8888
2016-09-19 12:28:42.443 INFO 3977 --- [ main] c.c.c.ConfigServicePropertySourceLocator : Located environment: name=config-client, profiles=[default], label=master, version=afb483b02756c38f5c2ce3a3e0ad149aefe100c3
2016-09-19 12:28:42.443 INFO 3977 --- [ main] b.c.PropertySourceBootstrapConfiguration : Located property source: CompositePropertySource [name='configService', propertySources=[MapPropertySource [name='https://github.com/younjinjeong/spring-cloud-event-sourcing-config/config-client.properties'], MapPropertySource [name='https://github.com/younjinjeong/spring-cloud-event-sourcing-config/config-client.yml'], MapPropertySource [name='https://github.com/younjinjeong/spring-cloud-event-sourcing-config/application.yml']]]
2016-09-19 12:28:42.503 INFO 3977 --- [ main] com.example.ConfigClientApplication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default profiles: default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면, 위와 같이 아름다운 Spring 아스키 이미지와 함께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 내용인 즉슨 다음과 같다.
Fetching config from server at: http://localhost:8888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서 Config server 로 부터 설정 내용을 가져온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시작되었다면, 아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것이다.
Tomcat started on port(s): 9999 (http)
즉, 설정 파일의 내용을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이 참조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포트를 9999로 설정한 것이다. 스프링 부트의 특징중 하나는 각종 설정의 오버라이드가 매우 쉽다는 점인데, 이것들은 서로 참조되는 순서가 있다. 첫번째로 참조되는 것이 바로 bootstart.properties 로, 이 파일에 있는 내용은 애플리케이션의 이름, config server 의 위치와 같이 거의 변경되지 않는 내용을 넣는다. 두번째로 참조되는 것이 이 경우에는 Config server 에 있는 설정 파일의 내용인데, 여기에서 역시 참조 순서가 있다. config server 가 참조하는 코드 저장소에 있는 설정 파일의 이름에 application.properties 가 있다면, 여기에 있는 내용은 모든 config server 를 참조하는 config client 들이 참조하는 전역 설정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이와 함께 [application-name].properties 가 있다면, 이 application.properties 위에 설정을 merge 해서 사용한다. 이때 동일한 설정이 있다면 이기는 쪽은 애플리케이션이름.프로퍼티 파일이 되겠다.
이러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설정의 참조 순서를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욱 중요한 것은 이를 통해 설정과 코드를 분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은 시작할때 서버의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스스로를 설정하며, 이는 12 factor 애플리케이션의 config 부분에 취급되는 매우 중요한 내용중 하나가 되겠다. 그리고 이 포스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각 설정 파일을 환경 별로 생성할 필요 없이 사용될 환경을 지정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프로파일 이라고 불리는데, 위의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로그를 살펴 보면 아래와 같은 로그가 남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default profiles: default
따라서 여러분이 사용하는 환경 별로 test, staging, production, cloud 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Config 에는 다소 민감한 내용들이 있을 수 있다. 이를테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 연결정보,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의 API 키와 같은 내용들이다. 이런 내용들을 보호하기 위해 암/복호화를 사용할 수도 있겠다. Config server 의 보안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살펴보기를 권고한다. https://cloud.spring.io/spring-cloud-config/spring-cloud-config.html#_security
마지막으로, Config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의 재시작 없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즉, 이미 온라인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feature flag라던가, a/b 테스트 용도의 기능 변경과 같은 것들을 이 변경 가능한 설정에 적용할 수 있다. 적용하는 방법은 아래의 Josh 코드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는 @RefreshScope 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아래의 간단한 코드는 message 라는 설정이 config repo 에 있고, 이를 즉시 변경할 수 있는 예제이다.
@RefreshScope
@RestController
class MessageRestController {
@Value("${message}")
private String message;
@RequestMapping("/message")
String message() {
return this.message;
}
}
이렇게 구성된 코드는 설정 파일에서 (또는 config repo에서) message 로 지정된 내용을 가져와 /message 에 요청이 있을때 응답한다. 만약 예전의 방법으로 이를 구성한다면, 메세지를 변경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던지) 아니면 설정을 수정/ 또는 코드를 수정하여 새로 빌드 후 배포해야 동작할 것이다. 하지만 Config client 에서는 이를 empty post 요청을 보냄으로서 처리가 가능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한다. http://cloud.spring.io/spring-cloud-static/spring-cloud.html#_refresh_scope
유레카와 마찬가지로, config server 역시 '설정 및 적용'을 위한 하나의 마이크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당연하게도 유레카 서비스와 함께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더 좋은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바, 그중에서도 스프링을 사용하여 마이크로 서비스를 구현하려는 경우에는 바로 이 유레카와 config 서버 두개를 기본 리소스로 확보하여 마이크로 서비스 구조를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다음번에는 이렇게 구성된 서비스들 간 API 게이트웨이 및 마이크로 프락시 역할을 하는 넷플릭스의 Zuul 을 스프링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younjin.jeong@gmail.com, 정윤진)